[경제 블로그] 낙하산 前수장마저 기름붓기 ‘哭聲’ 울려퍼지는 산업은행

[경제 블로그] 낙하산 前수장마저 기름붓기 ‘哭聲’ 울려퍼지는 산업은행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06-08 23:12
수정 2016-06-09 01: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우조선 지원 정부 일방통보” 홍기택 전 회장 폭로에 뒤숭숭

“솔직” “책임 회피” 반응 제각각

산업은행엔 요즘 ‘곡성’(哭聲)이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홍기택 전 KDB금융그룹 회장 겸 산업은행장은 청와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가 당사자인 KDB산업은행을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대우조선해양 지원 방안을 결정한 뒤 통보했다며 구조조정과 관련한 ‘산은 책임론’에 대해 억울함을 표명했습니다.

반응은 제각각입니다. 교수 출신이라 그런지 깜짝 놀랄 만큼 솔직했다는 평도 있습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무능한 사람이 와서 잘못된 결정으로 구조조정을 이 지경으로 만들었다는 여론에 (홍 전 회장이) ‘마녀사냥’을 당했다는 피해의식을 가진 것으로 안다”면서 “산업에 대한 미래를 보는 게 아니라 정치 논리로 경제를 끌어가는 ‘누구나 다 아는 얘기’를 터뜨린 시원한 폭로였다는 의견도 상당수”라고 말합니다.

홍 전 회장은 2013년 국정감사에서 “나 낙하산 맞다. 그래서 오히려 부채(빚)가 없다. 실력으로 보여주겠다”란 말로도 세간의 중심에 섰습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구조조정 시기만 3년 미뤄진 STX조선, 사태 파악도 제대로 못 한 상태로 4조원이 넘는 자금 지원을 결정한 대우조선, 재임 중 두 번의 1조원대 손실을 기록한 산업은행 경영까지 비난론이 거셌습니다. 홍 전 회장은 이런 사태의 본질적인 책임이 관치금융에 있음을 강조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자신에게 쏟아지는 화살을 비켜가기 위한 것”이라는 냉소도 적지 않습니다. 자신도 낙하산으로 내려와 그 자리에 있으며 혜택을 다 누려놓고 이제와 “이럴 줄 몰랐다”는 게 말이 되느냐는 것입니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도 “그렇게 부당하게 느꼈다면 현직에 있을 때 그런 주장을 펼쳐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홍 전 회장은 재임 시절 ‘학업에 뜻이 없는 사람’이라는 얘기가 파다했다”고 말했습니다. 대우조선해양 부실이 검찰 수사로까지 번지자 서로 책임을 전가하려는 양상이 역력합니다.

홍 전 회장의 말대로 ‘관치의 폐해’가 여전하지만 그렇다고 홍 전 회장도 그 책임에서 자유로워 보이지는 않습니다. “기업 구조조정에 정치적 문제가 개입된 적 없다”는 유일호 경제부총리의 강변이나, “모든 건 정부가 시켜서 한 일”이라는 ‘낙하산’ 전직 회장의 변명에 모두 눈살이 찌푸려지는 건 왜일까요.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6-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