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가 품은 ‘기대의 힘’… 건강·수명도 좌지우지

뇌가 품은 ‘기대의 힘’… 건강·수명도 좌지우지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3-01-05 17:24
수정 2023-01-06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기대의 발견/데이비드 롭슨 지음/이한나 옮김/까치/422쪽/2만원

이미지 확대
오래 운동을 하면 에너지가 고갈되고 근육에 젖산이 쌓이며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어느 시점에 이르면 근육 자체에 제동이 걸린다. 그럼 우리 몸의 에너지도 실제 고갈된 걸까. 2000년대 사이클 선수를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 결과로는 ‘아니오’다. 당시 실험에서 인간이 느끼는 피로감은 근육 문제가 아니라 뇌가 정한 운동량의 한계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기대의 발견’은 이처럼 신체의 한계를 결정하는 건 사실상 뇌이며, 활용 여하에 따라 자신의 삶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기대 효과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사례는 플라세보 효과일 것이다. 가짜 약을 진짜라고 믿었을 때 얻는 유효한 효과를 일컫는 용어다. 플라세보라는 걸 알고 먹어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반대로 부정적인 결과를 뜻하는 노세보 효과도 전염성이 강하다. 스스로 심혈관 질환에 취약하다고 믿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심장마비로 사망할 확률이 4배나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책은 긍정적인 사고가 행복을 가져다준다거나, ‘끌어당김의 법칙’처럼 부자인 자신을 상상하면 더 많은 돈이 따라온다는 식의 자기계발서와는 결이 다르다. 저자는 “책에 실린 연구들은 전부 탄탄한 실험을 바탕으로 동료 연구자들의 검증을 거쳐 학술지에 게재된 것”이라며 유사과학과는 선을 그었다.

저자가 알려 주고자 하는 건 “기대를 재설정하는 법”이다. 기대만 갖는 게 아니라 기대의 힘을 삶에 적극 활용해야 변화도 가져올 수 있다. 그게 가능한 건 우리 뇌가 “예측기계”라서다. 뇌는 사전 정보와 예측을 통해 일부 정보는 증폭시키고 일부는 무시하는 방식으로 현실을 해석한다. 그러니까 예측기계의 작동 원리를 알면, 현실의 실질적인 변화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기대는 숨 쉬는 공기와 같아서 어디든 있지만, 우리는 그 존재를 거의 의식하지 못한다”며 “기대의 힘은 너무나도 강력해서 질병이나 스트레스뿐 아니라 우리의 수명까지 좌지우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3-01-06 18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