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이후] 실종자 어머니 눈물의 기자회견

[천안함 침몰 이후] 실종자 어머니 눈물의 기자회견

입력 2010-04-07 00:00
수정 2010-04-07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금도 살아있을 듯…빨리 엄마품에 돌아오길”

평택 2함대 내 임시숙소에서 뜬 눈으로 밤을 지새우다시피한 실종자들의 어머니 23명이 6일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실종자 가족협의회가 있긴 하지만, 자식을 잃은 큰 아픔에 애끓는 모정을 주체할 길이 없어 자리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6일 평택 2함대 사령부에서 열린 실종자 가족기자회견에서 한 어머니가 염주를 만지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6일 평택 2함대 사령부에서 열린 실종자 가족기자회견에서 한 어머니가 염주를 만지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정상구 상병의 어머니는 “생존자를 만나고 싶고, 생존자를 미워하거나, 시기하지 않는다. 오직 감사드릴 뿐”이라면도 “사고현장에 직접 가 보니 정말 애들 장난하는 것 같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보트는 오가는데 잠수하는 사람은 2사람. 45명을 1명씩 구조한다면 며칠이 걸릴까? 공기주입할 때 호흡할 수 있겠다고 믿었다. 그런데 다 ‘형식’이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어머니들 모두 기도로 회견을 마쳤다. “저 차가운 바닷물 속에 갇힌 자식들. 지금도 살아 있을 것 같은데. 하루빨리 엄마 품에 돌아올 수 있도록 해주세요.”

한편 실종자 가족들에게 부대 인근 평택도곡초등학교 4~6학년 어린이 51명이 아픔을 나누겠다며 쓴 편지 51통을 전달했다. 한 학생은 만화캐릭터가 그려진 노란색 편지지에 “실종자 가족님들이 뜬눈으로 밤을 보내고 있을 텐데라고 생각하며 잠을 자고 아침에도 생각한다.”면서 “저희를 위해 고생하신 군인 여러분 매우매우 자랑스럽습니다. 희망을 잃지 마세요. 전국민이 응원합니다.”며 글을 맺었다. 편지를 읽던 가족들이 모두 부둥켜 안고 오열해 주위를 숙연하게 했다.

이소라 서울시의원 “특성화고 현장실습, 기습점검으로 학생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해야”

특성화고 학생들의 노동인권 교육과 현장실습 관리가 여전히 형식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장과 동떨어진 교육, 준비된 교재의 부재, 방문 점검의 실효성 부족 등이 드러나면서 교육청이 실질적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소라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열린 제333회 정례회 제7차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최근 전국 특성화고 노동조합에서 진행한 ‘특성화고 오픈 마이크’ 행사 관련 보도를 보니 “학생들이 충분한 노동인권 교육을 받고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정지숙 서울시교육청 평생진로교육국장은 “12시간의 사이버 노동인권 교육을 의무화하고 현장실습 나가기 전에 또 3시간의 대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의원은 “사이버 교육 이수율이 90%라고 하지만 사이버 교육만으로는 실질적 이해가 어렵다”며 학생들이 이해와 습득이 됐는지 모니터링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물으며 대면교육 확대 검토를 주문했다. 현장실습 점검 방식의 실효성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현재 학교와 교육청은 방문 일정을 사전에 조율해 점검을 실시한다. 그러나 학생들은 “방문 전 회사가
thumbnail - 이소라 서울시의원 “특성화고 현장실습, 기습점검으로 학생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해야”

김양진기자 ky0295@seoul.co.kr
2010-04-0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