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살아서 행복하세요?”…일본인과 중국인 답변 ‘이렇게’ 달랐다

“서울 살아서 행복하세요?”…일본인과 중국인 답변 ‘이렇게’ 달랐다

윤예림 기자
입력 2024-01-30 17:45
수정 2024-01-30 17: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성일 이민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 분석

이미지 확대
경복궁 찾은 외국인 관람객들.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
경복궁 찾은 외국인 관람객들.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신문
서울에 거주하는 외국인 중 일본인이 가장 높은 소속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감이 가장 낮은 외국인은 중국인이었다.

이민정책연구원은 최근 통계브리프 ‘서울시 거주 내국인과 외국인의 소속감과 행복감 비교’를 발간했다.

박성일 이민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서울시가 삶의 질·주거·교육·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 의견을 듣는 ‘2022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내용을 토대로 내·외국인 간 소속감과 행복감을 비교했다.

조사 응답자는 만 20세 이상이면서 서울에 90일을 초과해 거주하는 2500명의 외국인이다.

조사 결과 소속감(5점 만점)의 경우 일본인이 2.71점으로 가장 높았다. 한국계 중국인(조선족) 및 영미권 2.53점, 유럽권 2.52점 등이 그 뒤를 이었는데, 중국인이 2.25점으로 가장 낮았다.

행복감(10점 만점)도 일본인이 7.60점으로 가장 높았다. 영미권과 유럽권 7.42점, 중국인 7.25점 등이었고, 베트남인이 7.08점으로 가장 낮았다.

체류 기간별로 보면 체류 기간이 36개월 미만일 때 소속감이 가장 높았으며, 이후에는 감소했다. 행복감은 체류 기간이 36개월 이상~48개월 미만일 때 가장 높았다.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면 여성, 20대 이하, 중졸 이하, 자영업자의 소속감이 가장 높았다. 행복감은 연령이 낮을수록, 대졸자인 경우에 높았다.

서울에 거주하는 내국인과 외국인 간 소속감과 행복감을 비교하면 소속감은 내국인이 더 높았고, 행복감은 외국인이 더 높았다.

한편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지난해 약 251만명을 기록했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가 공개한 ‘2023년 12월 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은 250만 7584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보다 11.7% 늘어난 수치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4.89%에 해당한다.

지난해 체류 외국인 250만여명 중 90일 이상 장기체류하기 위해 당국에 등록하거나 거소 신고를 한 외국인은 188만 1921명(75.0%), 단기체류자는 62만 5663명(25.0%)이었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국적별로는 중국(94만 2395명)이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는 베트남(27만 1712명), 태국(20만 2121명), 미국(16만 1895명), 우즈베키스탄(8만 7698명) 등 순이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