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사회공헌 활동은 임직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기부와 나눔 등을 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미지 확대
포스코의 ‘포스코 1% 나눔재단’이 지난해 11월 필리핀 태풍피해 지원을 위해 30만 달러를 기부한 데 따라 현지인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포스코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포스코의 ‘포스코 1% 나눔재단’이 지난해 11월 필리핀 태풍피해 지원을 위해 30만 달러를 기부한 데 따라 현지인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포스코 제공
이를 위해 포스코는 지난해 출범한 ‘포스코 1% 나눔재단’ 활동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지난 1월 첫 이사회를 개최하고 ‘더 나은 세상을 향한 1%의 나눔’이라는 비전을 공표했다. 나눔재단은 지난해 포스코와 출자사 임직원이 내놓은 기부금만큼 회사가 같은 금액을 더해 조성한 45억원이 올해 사회공헌사업 자금이다.
먼저 포스코가 진출해 있는 지역사회 역량강화사업으로 에티오피아의 빈민층 자립을 위한 새마을사업을 전개하고 베트남 빈민지역 집짓기 프로젝트인 포스코빌리지 조성을 시행하기로 했다.
포스코빌리지 조성사업에는 포스코청암재단이 지원하고 있는 베트남 장학생들과 현지에 사업장이 있는 포스코특수강·포스코ICT·대우인터내셔널·포스코A&C 등의 출자사 직원들도 힘을 보탤 예정이다.소외계층 지원사업으로는 스틸하우스를 활용해 위기 청소년을 위한 쉼터를 건립하기로 했고 이혼 등의 이유로 해체된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서 회복을 위한 사업과 국내외에서 발생한 긴급 상황에 대한 구제 활동도 함께하기로 했다.
또 포스코의 설립 배경에 걸맞게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을 보존·계승하고 세계에 알리는 사업을 특화시켜 진행하기로 했다. 특히 생활고로 전승 단절 위기에 있는 금속 분야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를 지원할 계획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04-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