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산 가격 하락세…휘발유값 상승 요인은 없어
이라크 내전이 격화함에 따라 국내 정유업계의 7월 이라크산 원유 도입량이 대폭 감소해 작년 대비 절반수준으로 줄었다.18일 한국석유공사가 발표한 ‘주요 국가별 원유 수입’ 자료에 따르면 7월 이라크산 원유 도입량은 536만9천 배럴에 그쳐 작년 7월(899만3천 배럴)보다 40.3% 급감했고, 6월의 623만8천 배럴과 비교해도 13.9% 줄었다.
업체별로는 GS칼텍스가 약 436만7천 배럴, 현대오일뱅크가 약 100만3천 배럴을 들여왔다. SK에너지는 4월 이후 3개월째 이라크산 도입을 중단한 상태다.
이라크산 원유에 대한 수요는 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 등으로 분산됐다.
7월 카타르산 도입량은 1천35만9천 배럴로 작년 동월(660만 배럴)보다 57.0% 늘었다. 지난해 카타르의 대(對)한국 원유 수출량은 사우디·쿠웨이트·UAE·이라크에 이어 4위에 그쳤지만, 1년만에 2위 쿠웨이트와의 격차를 좁히며 3위로 올라섰다.
1위인 사우디산 도입량도 2천515만1천 배럴로 작년보다 10.1% 늘었다.
한편, 이라크 내전에도 최근 중동산 원유(두바이유) 가격 하락세가 이어져 국내 석유제품 가격이 올라가는 일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도입 원유의 약 80%를 차지하는 두바이유는 16일 배럴당 94.94달러로 올해 최저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연내 유가가 더 떨어지지 않더라도 올해 최저가는 이미 작년 최저가인 배럴당 96.71달러보다 약 2달러 내려간 셈이다.
미국 케임브리지에너지연구소(CERA)는 두바이유 평균 가격이 작년 105.56달러에서 올해 103.91달러로, 내년에는 101.71달러로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한국석유공사 관계자는 이에 대해 “달러화 강세에 따라 상대적으로 두바이유 가격이 떨어졌고, 미국이 셰일오일 등 비전통오일 부문에서 원유 생산을 확대해 재고가 늘어난 것도 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지난달 하루 평균 860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해 1986년 이후 최대 생산량을 기록했다.
리비아 중앙정부가 반군과 협상을 타결해 그간 반군이 장악했던 석유 수출항에서 원유 선적을 재개한 것도 중동산 원유 하락세를 부추겼다.
석유공사는 리비아의 하루 평균 원유 생산량이 7월 말 45만 배럴에서 9월 초 70만 배럴로 회복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