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은 글로벌 사회공헌에도 적극적이다. 사업 성패에 연연하지 않는 꾸준한 사회공헌 활동에 현지인들이 보내는 신뢰도 남다르다.
이미지 확대
베트남 탄호아 어린이병원에서 안면기형 수술을 마친 환아들과 의료 봉사 활동에 나선 의사와 SK 관계자들이 보드게임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SK그룹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베트남 탄호아 어린이병원에서 안면기형 수술을 마친 환아들과 의료 봉사 활동에 나선 의사와 SK 관계자들이 보드게임을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SK그룹 제공
글로벌 사회공헌으로는 베트남에서 진행하고 있는 안면기형 수술이 대표적이다. SK그룹은 지난 19년 동안 구개열과 구개순 등 안면기형으로 웃음을 잃어버린 베트남 어린이 3000여명에게 새 삶을 선물했다.
이 활동은 2010년 SK의 주력사인 SK텔레콤이 베트남 이동통신 사업 진출에 실패하면서 한때 중단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당시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사업적 이해관계를 넘어 인도주의적 후원은 계속하는 게 기업과 국가 이익에 맞다”고 설득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진정성 있는 사회공헌 활동은 중국에서도 빛을 발했다. 사람을 키워 국가와 사회에 보답한다는 SK그룹의 ‘인재보국’ 정신을 담은 SK그룹의 ‘장학퀴즈’는 중국의 대표적 교육 프로그램으로 뿌리를 내렸다. 실제 2000년부터 2012년 말까지 방영된 중국판 장학퀴즈 ‘SK 장웬방’은 중국 학부모와 청소년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이 밖에도 SK그룹은 2000년부터 중국과 국제학술교류사업을 시작해 아시아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베이징포럼과 상하이포럼을 개최하면서 한국과 중국의 학술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또 한국과 중국의 차세대 리더 양성을 위해 매년 두 나라의 대학생들의 학술교류를 지원하는 등 상호 방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만우 SK그룹 PR팀장(부사장)은 “남들과 차별적인 가치를 갖는 사회공헌 분야를 발굴하고 진정성 있는 활동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12-2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