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촘촘… 용접근로자 구슬땀… 지상보다 기온 4~5도 낮고 강풍

철근 촘촘… 용접근로자 구슬땀… 지상보다 기온 4~5도 낮고 강풍

류찬희 기자
입력 2015-08-30 23:54
수정 2015-08-31 0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롯데월드타워 110층 공사현장 가 보니

롯데건설이 30일 서울 송파구 잠실동 롯데월드타워 110층 높이의 공사 현장을 공개했다. 123층, 555m 높이의 이 빌딩은 최고층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연말이면 외부 공사가 모두 끝나고 본격적인 마감 공사에 들어간다. 작업모에 안전화, 각종 안전장비를 착용한 2000여명의 근로자는 속옷까지 흠뻑 젖은 채 작업에 열중하고 있었다.

이미지 확대
롯데건설이 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짓고 있는 국내 최고층 건물 롯데월드타워의 104층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바닥에 콘크리트를 쏟아붓기 위해 철근을 깔고 있다. 서울신문은 30일 롯데월드타워 110층 높이까지 올라갔다. 올 연말 123층 555m로 완공되는 이 건물은 이날 현재 115층 높이의 외곽 철골 공사를 마친 상태다.
롯데건설이 서울 송파구 잠실동에 짓고 있는 국내 최고층 건물 롯데월드타워의 104층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바닥에 콘크리트를 쏟아붓기 위해 철근을 깔고 있다. 서울신문은 30일 롯데월드타워 110층 높이까지 올라갔다. 올 연말 123층 555m로 완공되는 이 건물은 이날 현재 115층 높이의 외곽 철골 공사를 마친 상태다.
●안전장비 착용 2000여명 땀에 흠뻑

110층 높이에 올라가기까지 모두 4단계를 거쳤다. 1층에서 공사용 엘리베이터를 타고 79층까지 올라갔다. 지상에 철골 사다리를 세운 뒤 엘리베이터를 설치했기에 안전하다지만 옆 사람과 대화를 나눌 수 없을 정도로 소음이 심했다. 79층에서 고층부를 올라가기 위해 다른 공사용 엘리베이터로 바꿔 탔다. 이 엘리베이터는 지상 사다리와 연결된 것이 아니라 케이블카처럼 공중에 매달린 형태다. 101층에서 내렸다. 승강기는 더는 없다. 계단을 걸어서 104층까지 올라갔다.

●104층 423m서 인천 송도 한눈에

지상 423m의 104층 현장. 멀리 인천 송도 시가지가 눈에 들어올 정도로 탁 트였지만 건물이 흔들리는 듯해 불안했다. 실제로 건물이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 각종 공사 때문에 생긴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다. 발길을 옮기는 데 힘이 들어가고 보폭이 줄었다. 근로자 250여명은 슬래브를 치려고 구슬땀을 흘리며 손발을 맞췄다. 철근을 촘촘하게 엮은 모습이 꼼꼼히 수를 놓은 듯했다. 철근공 백영선씨는 “지하층부터 104층까지 철근 배근을 했다”면서 “국내 최고층 건물의 건축 현장을 지킨다는 자긍심으로 일하고 있다”며 뿌듯해했다.

●115층까지 외곽 철골 공사 마쳐

위를 올려다봤다. 외벽이 없다. 20층 높이의 중앙 타워크레인(기중기)만 버티고 있었다. 104층부터는 계단도 없다. 임시로 놓은 철 사다리를 타고 110층 높이까지 올라갔다. 최고 상층부는 외벽 공사를 위해 115층 높이의 외곽 철골 공사를 마친 상태였다.

한쪽에서 쉴 새 없이 용접 불꽃이 튀었다. 횡력(바람이나 지진의 영향으로 건물의 상하가 아닌 좌우로 가해지는 힘)을 이기기 위해 강관과 강철로 만든 철골 구조체가 일정한 각을 유지한 채 세워졌다.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작한 A자형 철골 구조체 하나의 무게가 28t에 이른다.

초고층 공사장 작업은 생각보다 까다로워 보였다. 기온이 지상보다 4~5도 낮고 바람은 지상보다 1.5배 강하게 불었다. 안전이 최우선인 만큼 공사를 멈추는 때도 종종 있다. 초당 풍속이 1m가 넘으면 위험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 시민들은 태풍 15호 고니의 간접 영향을 별로 느끼지 못했지만 당시 롯데월드타워의 공사는 중단됐다.

타워크레인 기사는 아침에 올라가면 퇴근할 때까지 3.3㎡(1평)도 안 되는 좁은 공간에서 생활한다. 지상에서 올려 보내는 도시락으로 점심을 때운다. 용변도 이 공간에서 해결해야 한다. 크레인 조작에 작은 실수라도 생기면 엄청난 무게의 자재가 건물에 부딪히거나 지상으로 떨어져 큰 사고를 내기 때문에 늘 초긴장 상태다.

●콘크리트 안 굳게 초고압 펌프로 타설

초고층 현장인 만큼 각종 첨단 공법도 동원됐다. 메인 크레인은 240t을 움직일 수 있다. 철근 등 무거운 자재를 옮기는 데 쓴다. 가벼운 짐과 근로자는 공사용 엘리베이터로 실어 나른다. 고강도(150㎫·1메가파스칼은 1㎠당 1.5t의 하중을 이기는 강도) 콘크리트를 최고층까지 보낼 때 굳지 않도록 초고압 펌프로 운반하는 특허 기술을 개발해 적용 중이다.

김진 롯데건설 상무는 “하루 2000여명 이상 투입되는 근로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최우선으로 감독한다”며 “롯데월드타워가 완공되면 초고층 빌딩 건축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글 사진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08-3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