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R&D 비용, 매출 대비 평균 2.8%…네이버는 24%로 1위

대기업 R&D 비용, 매출 대비 평균 2.8%…네이버는 24%로 1위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18 09:56
수정 2018-04-18 09: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CEO스코어 분석…삼성전자 16조8천억원으로 투자액 1위

국내 대기업 가운데 연구개발(R&D)에 가장 많이 투자하는 업체는 삼성전자이고, 매출 대비 R&D 투자 비율은 네이버가 제일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R&D 비용을 공시한 211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이들이 R&D에 투입한 비용은 총 45조2천87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들 기업의 지난해 매출액 합계인 1천630조5천452억원의 2.78%에 해당하는 것이다.

R&D 투자 비용은 전년보다 13.1%(5조2천288억원) 늘었고, 매출액 대비 비율도 0.14%포인트 상승했다.

업체별로는 삼성전자가 16조8천32억원으로 유일하게 10조원을 넘기며 압도적인 1위에 올랐고, LG전자가 4조338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현대차(2조4천995억원)와 SK하이닉스(2조4천870억원)는 2조원을 넘겼으며, LG디스플레이(1조9천117억원), 기아차(1조6천419억원), 네이버(1조1천302억원) 등은 1조원대였다.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은 포털·게임 서비스업체와 제약사들이 대체로 상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이 24.6%로 유일하게 20%를 넘었고, 이어 ▲ 한미약품(18.61%) ▲ 엔씨소프트(16.18%) ▲ 대웅제약(13.18%) ▲ NHN엔터테인먼트(12.87%) 등의 순이었다.

특히 네이버는 인텔(20.87%)이나 페이스북(19.1%), 노바티스(18.3) 등 글로벌 유력 기업들에 비해서도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반면, 팜스코와 팜스토리, 포스코 대우 등은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율이 0.01%에 그쳐 최하위권에 랭크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