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은 지난해 주요 관계사들이 창출한 사회적 가치(SV)를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1조 6000억원(8.6%) 증가한 20조 556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사회적 가치란 이해관계자들이 당면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완화하는 데 기업이 기여한 정도를 의미한다.
이미지 확대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SK그룹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SK그룹 제공
SK는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실현하는 ‘더블보텀라인’(DBL)을 새로운 경영비즈니스 모델로 제시하고, 2018년부터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를 화폐화해 발표해왔다.
지난해 SK가 창출한 사회적 가치는 지표별로 ▲ 경제 간접 기여성과 20조 7775억원(고용 11조 6000억원, 배당 4조 4000억원, 납세 4조 8000억원) ▲ 환경성과 -2조 7598억원(환경공정 -3조 6000억원, 환경 제품·서비스 9000억원) ▲ 사회성과 2조 5389억원(사회 제품·서비스 1조 1000억원, 노동 6000억원, 동반성장 4000억원, 사회공헌 4000억원)이다.
SK그룹 측은 최태원 회장의 독려로 관계사들이 사회적 가치를 측정·관리하는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구축하고, 그 결과를 이해관계자들에게 공개한 것이 가치 증가를 끌어냈다고 자평했다.
SK그룹 관계사별 사업 중에서는 ‘카본 투 그린’ 전략을 이행 중인 SK이노베이션이 대표적이다. SK이노베이션 소속 SK온과 SK아이이테크놀로지가 각각 생산하는 전기차 배터리와 전기차 배터리 분리막은 환경 분야의 사회적 가치 증가에 이바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온실가스 배출 물질인 프레온을 대체하는 발포제 생산으로 935억원, 재활용 전용 아스팔트 개발·판매로 61억원 등이 새로운 사회적 가치로 창출됐다. SK이노베이션은 폐플라스틱 리사이클, 폐배터리 금속 재활용(BMR), 폐윤활유 업사이클링 등 새 사업 모델도 추진 중이다.
최 회장은 사회적 가치 측정 및 발표 5주년을 맞아 “화폐화 측정을 기반으로 더 많은 사회적 가치가 창출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국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