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임대료 조정이 무산된 점포 15곳을 모두 연내에 문 닫기로 했다. 일부 점포의 영업시간도 단축한다.
홈플러스는 3일 직원들에게 “5개 점포를 오는 11월 16일 폐점하는 데 이어 나머지 10개 점포를 12월에 닫기로 했다”고 알렸다. 수원 원천, 대구 동촌, 부산 당림점 등 5곳이 11월에, 서울 시흥·가양, 경기 일산·안산 고잔·화성 동탄점 등 10곳이 12월에 문을 닫는다.
지난달 홈플러스는 경영환경이 개선되지 않고 자금 압박이 가중되는 상황에 대응하겠다며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에 대한 폐점을 발표했다. 당초 11월에 5곳을 닫고 나머지 10곳은 내년 5월까지 폐점한다고 했는데, 시점을 더 앞당겼다. 홈플러스는 “폐점이 계획된 15곳의 연간 영업손실이 800억원인데 임대료가 700억원이기에 기업회생에 성공하려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홈플러스는 “주요 거래처의 보증금 선지급 요구와 정산 기간 단축 등 거래조건 강화로 회생 전 발생하지 않은 1000억원 이상의 추가 자금 수요가 발생해 유동성이 악화하고 있다”며 “자금 수요가 큰 추석을 앞두고 임대료 조정이 완료된 점포에 밀린 임대료를 지급하면서 자금 압박이 가중됐고, 현금흐름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홈플러스는 3일 직원들에게 “5개 점포를 오는 11월 16일 폐점하는 데 이어 나머지 10개 점포를 12월에 닫기로 했다”고 알렸다. 수원 원천, 대구 동촌, 부산 당림점 등 5곳이 11월에, 서울 시흥·가양, 경기 일산·안산 고잔·화성 동탄점 등 10곳이 12월에 문을 닫는다.
지난달 홈플러스는 경영환경이 개선되지 않고 자금 압박이 가중되는 상황에 대응하겠다며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에 대한 폐점을 발표했다. 당초 11월에 5곳을 닫고 나머지 10곳은 내년 5월까지 폐점한다고 했는데, 시점을 더 앞당겼다. 홈플러스는 “폐점이 계획된 15곳의 연간 영업손실이 800억원인데 임대료가 700억원이기에 기업회생에 성공하려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홈플러스는 “주요 거래처의 보증금 선지급 요구와 정산 기간 단축 등 거래조건 강화로 회생 전 발생하지 않은 1000억원 이상의 추가 자금 수요가 발생해 유동성이 악화하고 있다”며 “자금 수요가 큰 추석을 앞두고 임대료 조정이 완료된 점포에 밀린 임대료를 지급하면서 자금 압박이 가중됐고, 현금흐름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2025-09-0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