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똘똘한 한 채 쏠림 심화”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 이후 한 달 동안 아파트 거래가 급감했지만, 일부 고가 아파트는 신고가를 경신했다.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6·27 대책 전후 한 달간 아파트 시장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의 매매 감소율(-72.5%)이 비수도권의 매매 감소율(-39.9%)보다 더 가팔랐다. 대출 규제의 직접적인 타깃이었던 수도권 시장의 매수 심리가 비수도권보다 더 크게 위축된 것이다.
수도권의 20억원 초과 아파트 매매는 한 달 전 대비 85.8%로 급감하며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그러나 신고가 비율은 66.1%로 모든 가격대 가운데 가장 높았다. 매매된 3건 가운데 2건이 신고가를 찍은 것이다. 특히 서울 서초구의 경우 기존 최고가보다 평균 8.6% 높은 가격에 거래됐다. 이어 양천구(8.3%), 성동구(8.3%), 강남구(8.1%) 등이 뒤따랐다. 면적별로는 전용면적 85㎡를 초과하는 대형 아파트에서 신고가가 가장 많이 나왔다. 같은 기간 매매 건수는 79.2% 감소했지만 신고가 비율이 12.1%로 소형과 중형을 제치고 모든 면적대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건축 연도별 분석에서도 양극화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6·27 대책 이후 수도권에서 신고가 비율이 가장 높은 아파트는 ‘5년 이하 신축’(12.7%)이었고, 이어 재건축이 기대되는 ‘30년 초과 노후 구축’(9.5%) 순이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6·27 대책이 수도권 아파트 시장을 침체와 과열이 공존하는 양극화 시장으로 만들었다”면서 “당분간 이러한 ‘똘똘한 한 채’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했다.
2025-07-3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