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은행권의 ‘예대금리차’(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의 차이) 확대를 공개 비판하며 산정 체계 등 전반적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예금자보호 한도가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된 첫날인 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영업점을 찾아 “기준금리가 인하되는데도 예대금리차 확대가 지속되면 국민이 납득하기 어렵다”면서 “금융권 영업이 이자 중심, 대출 중심에만 몰두하고 있는 것이 아닌 지에 국민·시장의 냉정한 평가가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권 스스로 가산금리 수준과 체계를 다시 살펴봐 달라”면서 “정부도 금리부담을 줄이기 위해 대출 갈아타기·중도상환수수료 개편·금리인하요구권 등 3종 세트를 추진 중이다”라고 강조했다. 은행권이 이자·대출 중심에서 벗어나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도 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예금자보호 한도가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된 첫날인 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영업점을 찾아 “기준금리가 인하되는데도 예대금리차 확대가 지속되면 국민이 납득하기 어렵다”면서 “금융권 영업이 이자 중심, 대출 중심에만 몰두하고 있는 것이 아닌 지에 국민·시장의 냉정한 평가가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권 스스로 가산금리 수준과 체계를 다시 살펴봐 달라”면서 “정부도 금리부담을 줄이기 위해 대출 갈아타기·중도상환수수료 개편·금리인하요구권 등 3종 세트를 추진 중이다”라고 강조했다. 은행권이 이자·대출 중심에서 벗어나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도 했다.
2025-09-0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