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석용 매직’ 끝났나… LG생활건강 4분기 매출·영업익 뚝

‘차석용 매직’ 끝났나… LG생활건강 4분기 매출·영업익 뚝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22-01-27 22:02
수정 2022-01-28 03: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연매출 사상 최대 실적에도
66분기 영업익 증가 기록은 멈춰

이미지 확대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
‘차석용 매직’이 멈춰 서나.

LG생활건강이 지난해 연간 매출 8조 1000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17년 연속 성장이다. 그러나 마냥 축포를 터뜨릴 수는 없는 모습이다. 지난해 3분기 중국 화장품 시장 부진에 따른 매출 감소 조짐을 보이더니 4분기에는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모두 역성장했다.

27일 LG생활건강이 발표한 지난해 연간 매출액은 8조 915억원으로 2020년(7조 8445억원) 대비 3.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1조 2209억원) 5.6% 늘어난 1조 2896억원을 달성했다. 하지만 4분기 매출은 같은 기간 3.4% 감소한 2조 231억원, 영업이익은 5.9% 감소한 2410억원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이로써 LG생활건강의 66분기 영업이익 증가 기록은 멈춰 서게 됐다. LG생활건강은 2005년 1분기 차석용 부회장의 취임 이래 62분기 매출 증가, 2005년 1분기 이후 한 분기를 제외한 66분기 영업이익의 기록을 써 왔다.
이미지 확대
LG생활건강의 성장에 적신호가 켜진 건 중국 내 화장품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LG생활건강의 4분기 뷰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9% 감소한 1조 1403억원, 영업이익은 16.9% 감소한 1873억원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자국 브랜드가 급성장하고 온라인 시장 경쟁이 심화하면서 마케팅 비용이 증가하고 수익성도 악화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중국 다이궁(보따리상)을 대상으로 한 면세점 매출도 감소했다.

LG생활건강은 올해 북미로의 시장 선회를 통해 중국 의존도를 낮춘다는 전략이다. 차 부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글로벌 최대 시장인 동시에 트렌드를 창출하는 북미 시장에서 사업을 확장”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2022-01-28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