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생명

한화생명 제공
지난달 10일 서울 드림플러스강남에서 열린 ‘위 케어 리셋’ 발대식에서 홍정표(첫줄 왼쪽 열 번째) 한화생명 커뮤니케이션실 부사장, 이민혁(첫줄 왼쪽 여섯 번째) 대한암협회 회장 및 2기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화생명 제공
한화생명 제공
한화생명이 아동·청소년 대상 ‘상생 금융’ 실천에 나서고 있다. 특히 경기 침체와 양극화 심화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을 위해 맞춤형 돌봄 프로그램 ‘위 케어(WE CARE) 캠페인’을 중심으로 경제·정서적 지원을 확대 중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위 케어 켐페인’ 일환으로 한화생명은 보호 종료 아동인 자립준비청년에게 ‘맘스케어 드림 저축보험’을 제공하고 있다. 월 28만원 저축 중 8만원은 청년 본인이, 나머지 20만원은 한화생명 및 관계사와 임직원 기부금으로 채워진다. 3년 만기 시 약 1000만원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고 골절, 수술, 화상 등 보험 보장도 받을 수 있다. 더불어 한화생명은 정서적 지지를 위해 자립청년 전용 커뮤니티인 ‘위 케어 멤버십’을 통해 정기 모임, 명절 선물 등 상조 형태 지원을 병행 중이다. 2021년 1기로 가입한 15명 모두 지난해 만기 보험금을 수령했다.
가족 간병을 도맡는 가족돌봄청년을 위한 지원도 강화했다. 생활비, 의료·난방비, 주거 환경 개선 등 실질적 생활 서비스를 지원한다. 서울시와 협력해 청소·세탁 등 일상 서비스도 지원 중이다. 여기에 지역 기반 복지 네트워크와 전문가 그룹 연계 체계 등을 구축해 가족돌봄청년 밀착 지원이 가능하도록 했다. 지역 복지기관 실무자 역량 강화 지원 등으로 위기 시 적시 대응할 수 있게 했다.
이와 함께 암을 이겨낸 2030 청년을 위한 사회 복귀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한화생명은 2022년 암경험청년과 가족, 정신건강 전문가, 취업 상담가 등을 연결한 통합 치유 프로그램을 보험업계 최초로 도입했다. 지난해부터는 대한암협회와 ‘위 케어 리셋(RESET) 캠페인’도 진행해 현재 50개 청년 크루 총 200여명이 운동·식단·진로 등 사회 복귀를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 과정을 공유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캠페인은 실제 사회 복귀 의지와 삶의 질 향상에 효과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화생명은 앞으로도 청년 돌봄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양한 맞춤형 금융지원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2025-07-24 4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