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

한국도로공사 제공
한국도로공사가 구축한 플랫폼을 통해 판로를 개척한 ‘비상회차로 자동개폐시스템’.
한국도로공사 제공
한국도로공사 제공
‘공공기관 통합기술마켓 총괄기관’인 한국도로공사(사장 함진규)는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공공 조달시장 진입 기회를 제공하고자 ‘중소기업기술마켓’을 구축·운영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중소기업기술마켓은 총 109개 공공기관이 참여해 중소기업의 우수 기술과 제품을 직접 검증하고, 등록해 판로를 지원함으로써 성장 잠재력이 있는 중소기업을 발굴·육성하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우수 기술·제품을 보유한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술마켓을 통해 온라인 기술 인증, 판로 및 홍보, 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2448건의 우수 기술·제품이 등록됐고, 누적 구매 금액은 1조 279억원에 이른다.
비상회차로 자동개폐시스템이 대표 사례다. 고속도로 중앙분리대의 비상회차로 자동개폐시스템을 만든 D사는 정부와 한국도로공사가 지원하는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019년 해당기술을 개발했다. 2023년 공사가 운영하는 ’道公(도공)기술마켓‘에 해당 기술을 등록했고, 실제 세종-포천 고속도로 등에 적용됐다. 이후 혁신성과 공공성을 인정받아 혁신제품으로 지정되고,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경진대회에서 공공기관 동반성장 최우수 사례로 선정되기도 했다.
도공기술마켓은 중소기업이 신청한 신기술․제품을 공사가 심의·등록해 고속도로 설계, 건설, 유지관리에 활용하는 제도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615개 회사, 946개 기술이 등록됐다. 누적 매출액은 1조 6000억원을 넘어섰다. 도로공사는 2027년까지 등록 기술을 현재 2448건에서 3500건까지, 구매 금액을 연간 5200억원에서 1조 1000억원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중소기업기술마켓을 더욱 발전시켜 중소기업에 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도와 국가 기술 발전과 성장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2025-07-24 4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