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정보보안 연합전선 구축 제안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앞장” 비전5년간 정보보호 분야 7000억 투자정부가 ‘보이스피싱 인공지능(AI) 플랫폼’(가칭)을 연내 구축하기로 한 가운데 LG유플러스가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민관협동 정보보안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개별 통신사가 각 부처나 공공기관과 각각 협업하는 데서 나아가 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를 비롯한 민간 영역과 공공 영역이 함께 연합 전선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LG유플러스는 29일 서울 용산사옥에서 보안 전략 간담회를 개최하고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진심인 통신사가 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지난해 정보 보호 분야에 약 828억원을 투자한 LG유플러스는 향후 5년간 7000억원을 추가 투자하기로 했다. 앞서 SK텔레콤과 KT는 같은 기간 각각 7000억원과 1조원을 정보 보호에 투입하기로 했는데, 통신업계에서 총 2조 4000억원의 자금이 5년간 정보 보호에 투입되는 셈이다.
LG유플러스는 갈수록 고도화되는 보이스피싱·스미싱 범죄에 맞서고자 모니터링부터 시작해 단계별로 장벽을 세웠다. 모니터링을 통해 24시간 위협을 탐지하는 것은 물론 국내 통신사 중 유일하게 범죄 조직이 운영하는 악성 앱 서버를 직접 추적해 해당 서버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고객을 확인한 뒤 경찰에 알리기도 한다. 지난 2분기 경찰에 접수된 전체 보이스피싱 사건 중 약 23%는 LG유플러스가 전달한 것이었다. 서울경찰청과는 현장 공조 체계도 구축했다.
다만 이처럼 개별 통신사가 각 부처, 공공기관 등과 따로따로 협업하는 것에는 한계가 뚜렷하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입장이다. 홍관희 정보보안센터장(전무)은 “LG유플러스는 물론 모든 통신사를 비롯해 삼성전자 같은 단말기 제조사, 금융사 등 민간 영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공공 영역의 유관 부서·기관이 모두 연합 전선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주기적으로 만나 대책을 공유하면서 모든 국민이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자”고 덧붙였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되면 통신사들이 기술 협력 등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2025-07-3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