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첫 휴대전화/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첫 휴대전화/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5-01-27 17:58
수정 2015-01-27 1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집사람은 휴대전화를 쓴 적이 없다. 이른바 첨단 기기를 멀리한다는 아미시족과 다르지 않다. 최근에 폰을 가져야 할 변화가 생겼다. 쇼핑몰 등에서의 포인트 적립 방식이 대부분 폰 인증으로 바뀌어 버티기가 힘들다고 한다. 그동안 폰을 안 쓴 건 전자파가 몸에 좋지 않다는 게 첫째 이유였고, 유선전화를 사용하면서 딱히 불편함도 없다고 했다. ‘늦게 배운 도둑질’이라던가. 요즘 생애 첫 폰 장만 준비로 자료를 비교하는 등 부산스럽다. 대리점은 물론 알뜰폰 홈페이지에도 자주 들른다. 비껴 앉아 조언하는 재미가 있다.

며칠 새 요금제 노하우가 부쩍 쌓였다. “꼼꼼히 따져 보지 않으면 업체가 내놓은 혜택에 홀리겠어”라며 지적도 따끔하다. 신규 가입자보다 경쟁사에서 옮겨 오는 이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준다는 것도 알아챘다. 한마디 거들었다. “그래서 단통법이란 걸 만든 거야. 일반인들이 이를 제대로 모르지.” 고개를 끄덕이며 맞장구친다. 폰요금 노하우는 이미 수준급이다. 알뜰 작업이 어떤 요금제를 택하게 할까. 폰을 유용하게 사용할지, 포인트 적립이 소탐이 될지는 두고 볼 일이다. 휴대전화의 편함이 메모 습관을 줄이게 하지 않을까 적이 걱정도 된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5-01-2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