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청춘/박홍기 논설위원

[길섶에서] 청춘/박홍기 논설위원

박홍기 기자
입력 2016-01-24 23:44
수정 2016-01-25 0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응답하라 1988’, 옛날을 떠올렸다. 잊고 지냈던 시절이다. 필름을 뒤로 돌리는 듯했다. 벌써 30년 전이다. 드라마의 무대였던 쌍문동에서 대학 시절 한때 살았다. 북한산이 턱 버티고 있는 곳이다. 동네도 드라마 속과 비슷하다. 20번, 20-1번 시내버스가 다녔다. 아파트도, 지하철도 없었다. 골목 끝 집이라 초입 이웃들과도 인사하고 지냈다. 눈이 오면 함께 치우고, 연탄재를 뿌리기도 했다. 그땐 그랬다.

‘청춘’도 모처럼 들었다. ‘언젠가 가겠지 푸르른 이 청춘 지고 또 피는 꽃잎처럼’ 노랫말처럼 구슬픈 연가다. 대학생 때 곧잘 흥얼거렸지만 그땐 청춘인줄 몰랐다. 그저 젊었을 뿐이었다.

쌍문동도 참 많이 변했다. 지하철이 뚫리고, 아파트도 빼곡하다. 30년이란 긴 세월에 변하지 않고 바뀌지 않은 게 있겠는가. 50줄도 중반으로 치닫는 지금 돌아보니 “그 시절이 청춘”이었다. 88년에 대학 2학년이던 아내의 사진에 덕선이가 있다. 머리 스타일하며, 옷차림이 똑같다. 애들이 신기한가 보다. 20대에 갓 들어선 큰애가 “그렇게 세월은 가는 거야…”라며 ‘청춘’ 가사를 흥얼댄다. 청춘의 의미를 알까. 한참 지나서야 비로소 알 것 같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01-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