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책동무/이순녀 논설위원

[길섶에서] 책동무/이순녀 논설위원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18-02-19 23:10
수정 2018-02-20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서관에서 빌린 책을 읽다가 타인의 흔적을 발견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책 속에 무심히 끼워진 대출확인증이다. 아마도 책갈피로 활용하다가 버리는 걸 깜박한 모양이다. 드물게는 두 사람의 대출확인증이 같이 끼워져 있기도 한데 그럴 때는 일부러 남겨 둔 것 아닌가 싶기도 하다.

나보다 앞서 책을 빌린 이가 누군지 안다는 건 조금은 기이한 경험이다. 알 수 있는 정보라야 이름 석 자뿐이지만 같은 책을 골랐다는 사실만으로도 괜히 반갑다. 특히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은 숨은 보석 같은 책일 경우 친밀감이 더 크게 느껴진다. 마음 잘 통하는 책동무를 찾은 기분이라고 할까.

전산 시스템이 도입되기 이전 도서관에서 책을 빌릴 때는 대출카드를 일일이 손으로 작성해야 했다. 책 맨 뒷장엔 황토색 봉투와 흰색 대출카드가 어김없이 붙어 있었다. 릴레이하듯 누군가의 이름 뒤에 내 이름이 오르고, 또 내 이름 뒤엔 생면부지의 이름들이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문득 궁금해진다. 그 시절, 나와 같은 책을 공유했던 수많은 책동무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coral@seoul.co.kr
2018-02-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