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아빠의 시간/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아빠의 시간/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0-06-24 17:46
수정 2020-06-25 0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말이 좋아 등교 개학이지 실상은 변형된 온라인 수업이다. 중1 아이는 학년별로 한 주씩, 초4 둘째는 일주일에 딱 하루 학교에 간다. ‘드디어 학교 간다’며 좋아했던 아내의 삶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세 끼 밥 차리랴, 간식 챙기랴, 온라인 등교 체크나 숙제는 잘 제출했는지 확인하랴 눈코 뜰 새 없다. 아이들 역시 친구들과 어울릴 시간은 여전히 없고, 엄마와 씨름하기는 마찬가지다.

퇴근하면 아내는 반쯤 뚜껑이 열린 채로 붉으락푸르락하고 있고, 아이 역시 반쯤 얼이 나가 있어 인사도 하는 둥 마는 둥이기 일쑤다. 아이의 허술한 학습 상황을 일러바치는 아내 앞에서 혼내는 시늉을 하다가 아이방에서 살살 달래주는 게 일찍 귀가하는 날의 일과 중 하나다. 다들 할 말이 많다. 양쪽을 왔다 갔다 하며 아빠로서 하는 말은 결국 하나다. 입장을 바꿔 생각해 봐라, 아이(혹은 엄마)가 얼마나 힘들겠냐, 상대방을 이해한다면 그렇게 하지 않을 거다 등등. 뻔하거나 허망한 말이다.

그래도 아빠가 있는 시간에는 뭔가 집안의 평화가 지켜지고, 이해충돌자 간의 조정이 이뤄진다 생각하니 내 존재의 이유가 있는 듯싶다. 아버지의 반도 못 따라가지만, 위엄 있으면서도 따뜻했던 그 모습이 자꾸 생각나는 시절이다.

2020-06-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