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김칫국/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김칫국/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1-02-15 20:38
수정 2021-02-16 02: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코로나19는 결국 명절 풍속도까지 바꿔 놓았다. ‘5인 이상 모임 금지’ 방역 조치로 설 연휴 귀성객이 크게 줄었다고 한다. 웃돈을 주고도 구할 수 없었던 열차표, 고속버스표가 절반 이상 남아돌았다니 더 말해 무엇하랴.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명절인데 고향에 계신 부모님은 찾아봬야 도리 아니냐’며 형제들이 날짜를 나눠 다녀온 가족 등 ‘귀성 사수파’도 많은 것을 보면 코로나19도 어찌할 수 없을 만큼 고향의 흡인력은 위력적이다.

한겨울 온종일 밖에서 놀다 꽁꽁 언 손발을 아랫목 이불 밑에 집어넣어 녹이고 있으면 어머니는 삶은 감자나 군고구마를 들이밀곤 했다. 행여 목이 막힐까, 체할까, 딱 맞게 익은 동치미 국물을 함께 내는데 그 궁합이 절묘했다. 명절에는 갈비찜이나 전 등 느끼한 음식과 함께 동치미가 빠지지 않았다. 비슷한 음식궁합으로, 잊을 수 없는 고향의 맛이다.

‘김칫국부터 마신다’는 말이 있다. 지레짐작만으로 동치미 국물부터 챙겨 마신다는 것인데 정작 떡 줄 사람은 떡을 내밀 생각도 안 하니 헛물을 들이켜는 것과 마찬가지다. 선거 때마다 헛물 켜는 후보들이 넘쳐난다. 4월 보궐선거도 예외는 아니다. 표 줄 생각조차 없는데 김칫국부터 마시는 후보들을 보면 그저 안타까울 뿐이다.

2021-02-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