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상실의 시대/진경호 논설위원

[길섶에서] 상실의 시대/진경호 논설위원

진경호 기자
진경호 기자
입력 2021-12-26 17:30
수정 2021-12-27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지인의 지인이 키우던 ‘방울이’(개라고는 못 하겠다)가 죽었다. 10년 넘게 애지중지 키웠던 가족들은 차마 화장을 못 하고 산책길 어귀에 몰래 묻었다고 한다. 한데 며칠 뒤 비가 몹시 퍼부었고, 지인의 지인의 아내는 밤새 발을 구르더니 동 틀 무렵 뜯어말릴 틈도 없이 방울이 묻힌 곳으로 달려가 맨손으로 땅을 파헤쳤단다. 젖은 땅에 놔둘 수 없다고, 집으로 데려가겠노라고. 새벽 어스름 이 기괴한 모습에 놀란 주민이 신고를 했고, 같이 놀란 경찰이 달려오고….

반려동물이 열 집 중 세 집에 산다는 통계를 봤다. 지난해 기준 2100만 가구 중 604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운다. ‘댕댕이’가 602만 마리, ‘냥이’가 258만 마리. 2016년 이후 출생한 아기 수가 167만이니 아기를 둔 집은 열 집 중 한 집도 안 된다. 견줄 대상은 결코 아니겠으나 통계 숫자는 반려동물이 아기를 대체하고 있음을 뚜렷이 보여 준다.

반려동물을 키워 본 처지에 어찌 이들이 주는 기쁨과 위안을 모를까만 반려동물이 는다는 건 반가운 시그널만은 아닌 듯하다. 위로가 필요하다는 것, 상처가 크다는 것, 외롭다는 것…. 댕댕이를 데리고 산책 다니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 싶더니 요즘엔 달리 보인다. 댕댕이가 사람을 끌고 다닌다. 아닌가. 착각이길….

2021-12-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