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각료 또 정치자금 부정의혹…이번엔 환경장관

일본 각료 또 정치자금 부정의혹…이번엔 환경장관

입력 2014-10-28 00:00
수정 2014-10-28 09: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개각 후 6명째…산케이 “여권서 ‘중의원해산 및 조기총선론’ 부상”

모치즈키 요시오(67, 望月義夫) 일본 환경상(장관)이 정치자금 회계보고서에 허위기재를 한 사실이 드러났다고 아사히 신문 등 일본 언론이 28일 보도했다.

지난 20일 각료 2명이 동반 사임하고 나서도 아베 내각 각료들의 정치자금 문제가 잇따라 제기됨에 따라 여권 일각에서는 연내에 중의원(하원)을 해산하고 조기 총선거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모치즈키 환경상 후원회의 정치자금 회계 보고서에는 2008∼2011년 모치즈키의 지역구가 있는 시즈오카(靜岡)현에서 열린 신년 친목회, 골프대회 등과 관련해 742만 엔(약 7천235만 원)을 지출한 것으로 기재돼 있지만, 참가비 등의 수입은 전혀 적혀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아사히가 보도했다.

신년 친목회의 경우 1인당 2천 엔(약 2만 원) 씩 약 1천800명, 골프대회는 1인당 5천 엔(약 5만 원)씩 200∼250명으로부터 각각 회비를 거뒀음에도 수입이 없었던 것으로 돼 있다고 아사히는 덧붙였다.

이에 대해 모치즈키 환경상은 27일 심야에 기자회견을 열어 다른 회합 등에 지출한 비용을 신년 친목회 비용으로 허위기재를 한 사실을 시인했다. 그러면서 이미 고인이 된 자신의 아내가 당시 경리 책임자로서 허위 기재를 했다고 해명했다.

중의원 6선인 모치즈키 환경상은 지난달 3일 단행된 개각 때 각료로 발탁됐다.

이로써 개각 이후 정치자금 관련 부정 및 선거구민에 대한 기부행위 의혹이 드러난 아베 내각의 각료는 이미 사임한 오부치 유코(小淵優子) 전 경제산업상과 마쓰시마 미도리(松島みどり)전 법무상, 에토 아키노리(江渡聰德) 방위상, 오부치의 후임자인 미야자와 요이치(宮澤洋一) 경제산업상, 아리무라 하루코(有村治子) 여성활약 담당상 등을 포함해 모두 6명으로 늘어났다. 이들 모두 개각 때 아베 내각에 신규 진입했다.

아베 정권 안에서는 연내에 중의원을 해산, 조기 총선(중의원 선거)을 실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고 산케이신문이 전했다.

야당이 아베 정권의 정치자금 문제를 집중적으로 추궁하는 상황에서 지지율이 급락하기 전에 내년 10월로 예정된 소비세율 인상(8→10%) 연기 결정과 함께 ‘경제 살리기’를 쟁점 삼아 중의원 해산 및 조기 총선거 카드를 빼들자는 주장이다. 2012년 12월 총선이 치러졌기 때문에 정상적으로는 2016년 12월 차기 총선이 예정돼 있다.

한편, 아사히는 지난 20일 ‘자진 사퇴’ 형식으로 이뤄진 오부치 전 경제산업상과 마쓰시마 전 법무상이 동반 사임에는 정권 수뇌부의 ‘조율’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파문의 조기 수습 필요성을 느낀 아베 총리가 심복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장관을 통해 마쓰시마 법무상에게 사의 여부를 타진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아사히에 의하면, 두 각료의 사임 전날인 19일 스가 장관은 마쓰시마와 만나 “자진사임할 생각이 없는지 물어보라는 총리의 부탁이 있었다”고 말했다. 마쓰시마가 사임하겠다고 하자 스가 장관은 “가능하면 오부치씨와 같은 날 사임해달라”고 말했다고 아사히는 소개했다.

마쓰시마는 선거구 주민들에게 부채를 돌린 사실이 드러나면서 야당의 공세를 받고 있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