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폭탄 맞은 브릭스… 중국과 ‘밀착’

美 관세폭탄 맞은 브릭스… 중국과 ‘밀착’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5-08-05 18:12
수정 2025-08-06 06: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中, 브라질 183개사 커피 거래 허가
남아공도 美 대체 시장으로 中 모색

이미지 확대
브라질에서 열린 브릭스 정상회의 참석자들이 7일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리우데자네이로 신화 연합뉴스
브라질에서 열린 브릭스 정상회의 참석자들이 7일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리우데자네이로 신화 연합뉴스


미국으로부터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가 경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같은 ‘브릭스’(BRICS) 회원국인 중국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비서방 신흥경제국 협력체인 브릭스에는 이들 4개 국가와 러시아가 회원국으로 포함돼 있다.

브라질 주재 중국대사관은 4일(현지시간) 엑스(X)에 올린 글에서 “우리는 브라질 커피 수출업체 183개사에 대한 거래를 승인했다”며 “지난달 30일 발효한 이번 조처는 5년간 유효하다”고 밝혔다. 대사관은 또 “중국인 1인당 커피 소비량은 1년에 16잔으로 세계 평균 240잔에 비해 낮지만 일상생활에서 점차 자리를 잡아 가고 있다”며 판로를 찾고 있는 브라질 업계의 눈길을 잡을 만한 메시지를 곁들였다.

브라질 커피업계는 미국이 브라질에 부과한 50% 관세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 분야다. 브라질 커피수출업협회(CECAFE)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814만 1817포대(60㎏ 기준)를 수입한 브라질 커피 1위 수입국이었다. 미국과의 갈등이 격화하자 중국이 발 빠르게 브라질에 손을 내민 것으로 보인다.

남아공도 중국과의 밀착을 강화했다. 백인 이주민이 부당한 대우를 받는다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적했던 남아공에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30% 관세율이 적용됐다.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이날 “아프리카 대륙, 중동, 아시아 등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것”이라고 밝혔다. 남아공의 좌파 정당인 경제자유투사당(EFF)은 “중국, 브라질, 러시아 등 글로벌 사우스와 무역 동맹을 맺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으로부터 25%의 관세를 통보받은 인도는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제재 위협에도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또 중국에 대한 농산물, 공산품 교역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08-0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