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시 역사상 최대 규모의 부채를 안고 파산을 선언했던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시가 1년 5개월 만에 파산 상태를 공식 종료함에 따라 도시 재건에 성공할지 주목된다.
디트로이트 시 비상관리인인 케빈 오어 변호사는 10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어 “내일(11일) 오전 0시 1분을 기점으로 디트로이트 시는 파산 상태에서 벗어난다”고 발표했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 미국 연방 파산법원이 디트로이트 시가 제안한 180억 달러(약 20조원) 규모의 장기 채무 해결방안과 파산보호(챕터 9) 졸업 계획을 승인한 데 따른 것이다.
디트로이트 시는 부채 180억 달러 중 약 70억 달러를 탕감받았으며 앞으로 10년 동안 17억 달러를 들여 공공 서비스를 개선하게 된다.
파산 종료에 따라 미시간 주가 비상관리인으로 임명했던 오어 변호사는 이날 사임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릭 스나이더 미시간 주 주지사는 “가장 중요한 것은 디트로이트 시가 새로운 장(章)을 열기 위한 채비를 하게 됐다는 것”이라며 디트로이트가 수십년 간의 쇠락을 끝내고 성장을 시작하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마이크 듀건 디트로이트 시장은 “많은 사람에게 극도로 어렵고 힘든 과정이었다”고 그동안의 소회를 밝혔다.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공업 도시인 디트로이트는 한때 전성기를 누렸지만 자동차 산업 쇠퇴와 인구 이탈, 방만한 시 운영 등으로 부채 규모가 180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지난해 3월 재정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그해 7월 파산을 선언했다.
파산 도시로 전락한 디트로이트는 빈집이 더욱 늘면서 도시 곳곳이 폐허가 됐고 예산 부족으로 공공서비스의 질이 낮아졌다. 140만명을 넘었던 인구는 현재 70만명까지 줄었다.
디트로이트는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미국이 겪는 재정적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도시로 여겨지기도 했다.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해 그동안 회생 절차를 밟아온 디트로이트 시는 마침내 파산보호를 종료하게 됐지만 앞으로 해결할 과제가 쌓여 있다.
우선 높아진 범죄율을 낮추고 버려진 가옥 수만 채를 철거하는 것이 급선무다.
또, 두배로 높아진 실업률을 정상화하고 세제 개편을 통해 수도, 버스 등 공공 서비스를 개선해야 한다.
뉴욕타임스(NYT)는 “디트로이트가 어떻게 납세자들의 이탈을 막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심각하게 타격을 받은 지역들을 개선할 것인지 여전히 의문은 남아 있다”고 보도했다.
AP통신 역시 “주민들이 살 만하고 기업들에 매력적인 도시로 만들기 위한 노력은 앞으로 몇년 간 지속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디트로이트 시 비상관리인인 케빈 오어 변호사는 10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어 “내일(11일) 오전 0시 1분을 기점으로 디트로이트 시는 파산 상태에서 벗어난다”고 발표했다고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는 지난달 미국 연방 파산법원이 디트로이트 시가 제안한 180억 달러(약 20조원) 규모의 장기 채무 해결방안과 파산보호(챕터 9) 졸업 계획을 승인한 데 따른 것이다.
디트로이트 시는 부채 180억 달러 중 약 70억 달러를 탕감받았으며 앞으로 10년 동안 17억 달러를 들여 공공 서비스를 개선하게 된다.
파산 종료에 따라 미시간 주가 비상관리인으로 임명했던 오어 변호사는 이날 사임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릭 스나이더 미시간 주 주지사는 “가장 중요한 것은 디트로이트 시가 새로운 장(章)을 열기 위한 채비를 하게 됐다는 것”이라며 디트로이트가 수십년 간의 쇠락을 끝내고 성장을 시작하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마이크 듀건 디트로이트 시장은 “많은 사람에게 극도로 어렵고 힘든 과정이었다”고 그동안의 소회를 밝혔다.
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공업 도시인 디트로이트는 한때 전성기를 누렸지만 자동차 산업 쇠퇴와 인구 이탈, 방만한 시 운영 등으로 부채 규모가 180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지난해 3월 재정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그해 7월 파산을 선언했다.
파산 도시로 전락한 디트로이트는 빈집이 더욱 늘면서 도시 곳곳이 폐허가 됐고 예산 부족으로 공공서비스의 질이 낮아졌다. 140만명을 넘었던 인구는 현재 70만명까지 줄었다.
디트로이트는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미국이 겪는 재정적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도시로 여겨지기도 했다.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해 그동안 회생 절차를 밟아온 디트로이트 시는 마침내 파산보호를 종료하게 됐지만 앞으로 해결할 과제가 쌓여 있다.
우선 높아진 범죄율을 낮추고 버려진 가옥 수만 채를 철거하는 것이 급선무다.
또, 두배로 높아진 실업률을 정상화하고 세제 개편을 통해 수도, 버스 등 공공 서비스를 개선해야 한다.
뉴욕타임스(NYT)는 “디트로이트가 어떻게 납세자들의 이탈을 막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심각하게 타격을 받은 지역들을 개선할 것인지 여전히 의문은 남아 있다”고 보도했다.
AP통신 역시 “주민들이 살 만하고 기업들에 매력적인 도시로 만들기 위한 노력은 앞으로 몇년 간 지속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