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라! 쿠바 개방시대로] “美 투자로 인터넷 빨라졌으면” “美의 문화침략 어림없다”

[올라! 쿠바 개방시대로] “美 투자로 인터넷 빨라졌으면” “美의 문화침략 어림없다”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5-03-18 23:52
수정 2015-03-19 04: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바나대학 학생들의 기대와 우려

“미국이 들어오는 거 걱정하지 않아요. 인터넷이 하루속히 빨라졌으면 좋겠습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아바나대학에서 만난 대학생들은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에 큰 관심을 보였다. 특히 미국이 통신 인프라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것에 기대를 나타냈다.

이미지 확대
쿠바 아바나대학 학생들이 서울신문 기자와 만나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에 따른 쿠바의 미래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쿠바 아바나대학 학생들이 서울신문 기자와 만나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에 따른 쿠바의 미래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이과대학 앞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던 수학과 2학년 남녀 학생 4명은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는 당연한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주니엘(20)은 “경제가 나아지고, 특히 인터넷 등 통신이 조속히 빨라지기를 바란다”며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잘사는 나라인데 미국과 협력하면 경제가 좋아지지 않겠느냐”고 낙관했다. 미국이 들어오는 것에 대한 우려는 없느냐는 질문에 그는 “걱정하지 않는다. 긍정적으로 본다”면서 “쿠바의 자주성을 잃어버리는 것은 원하지 않고 문화적 침략도 원하지 않는다. 쿠바의 정체성은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델시(21)는 다소 신중한 입장이었다. 그는 “쿠바가 지난 50년간 이렇게 살아왔는데 변화가 빨리 올 것 같지는 않다. 쿠바가 미국과 관계를 개선한다고 쉽게 바뀔 것 같지 않지만 지켜보자. 잘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국에 대해 아느냐는 질문에 호세미겔(20)은 “한국 드라마를 봐서 안다. 그러나 북한을 더 잘 안다. 북한 선박이 지난해 쿠바에서 미사일 부품을 싣고 가다가 파나마 운하에서 붙잡혔다는 뉴스를 봤다”고 답했다.

법대 4학년 수잔나(22)는 “이번 조치로 미국의 경제 봉쇄가 끝나고 상업 교류의 장애물이 없어지기를 바란다. 쿠바 문화는 전통을 자랑하고 뿌리가 깊어 심각한 ‘미국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철학과 조교수 릴리아나(27)는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 발표는 느리지만 큰 걸음을 뗀 것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혼자서 많은 것을 할 수 없을 것 같다. 미 의회가 버티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 뒤 “무엇이 변할지 기다려봐야 할 것 같다. 미국 통신사가 아바나대학에 인터넷 시험 서비스를 할 예정인 것도 변화”라고 강조했다.

글 사진 아바나(쿠바)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5-03-1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