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일대일로는 ‘빚의 함정’일까? 亞 지도층에 물어보니…

中 일대일로는 ‘빚의 함정’일까? 亞 지도층에 물어보니…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9-11-28 16:55
수정 2019-12-04 18: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싱가포르 RSIS, 오피니언 리더 1230명 대상 인식조사...대부분 성장 잠재력 인정

일대일로 개요도. 서울신문 DB
일대일로 개요도. 서울신문 DB
서구세계를 중심으로 중국이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을 통해 개도국들을 의도적으로 ‘빚의 함정’으로 밀어 넣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지만 아시아 사회 지도층 대다수는 꼭 그렇게 생각하지는 않는다는 보도가 나왔다.

28일 싱가포르 난양공대 라자라트남 국제연구원(RSIS)에 따르면 올해 6월 20일부터 한 달간 아시아권 오피니언 리더 12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중국이 일부러 빚의 함정 외교를 펼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0.6%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42.1%는 ‘그렇지 않다’, 27.3%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설문 대상 10명 가운데 7명 정도는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을 나쁘게 보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빚의 함정’이라는 데 동의한 응답률은 베트남(65.4%)과 필리핀(60.6%), 스리랑카(48.7%) 등에서 높았다.

다만 중국의 의도와 상관없이 일대일로 사업이 주권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많았다. 응답자의 거의 절반(48.8%·복수응답 가능)이 일대일로와 관련해 예상되는 위험으로 ‘중국의 영향력에 취약해진다’는 점을 꼽았다. 이어 ‘중국 이주노동자 유입’(40.8%), ‘환경·기후변화에 악영향’(37.3%), ‘부채 해결 과정의 주권 약화’(35.5%) 순이었다. 중국군이 자국이나 인접국에 주둔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한 응답자도 21.9%였다.

그럼에도 전체 손익을 따질 때 일대일로가 자국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평가한 응답자가 41.6%였다. 위험이 더 크다는 응답은 17.8%였다. 이번 설문 조사는 인도와 일본, 호주를 제외한 아시아권 26개국 정부 당국자와 재계, 학계, 비정부기구 관계자, 언론 종사자 등을 상대로 이뤄졌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