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미스터 민주주의’ 리덩후이 前총통 별세

타이완 ‘미스터 민주주의’ 리덩후이 前총통 별세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0-07-30 22:32
수정 2020-07-31 02: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리덩후이 전 타이완 총통 AP 연합뉴스
리덩후이 전 타이완 총통
AP 연합뉴스
국민당 일당 독재 끝내고 다당제 도입
1996년 첫 직선제 총통… 친일 전력 오점
양안 프로젝트로 차이잉원 정계 이끌어


타이완이 국민당 일당 독재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하는 과도기에 구심점 역할을 한 리덩후이 전 총통이 30일 별세했다. 97세.

대만 중앙통신사 둥에 따르면 타이베이 롱민쭝 병원은 리 전 총통이 이날 오후 숨졌다고 밝혔다. 고령인 그는 지난 2월 폐렴 증세로 입원한 채 치료를 받아 왔다. 최근 병원 관계자는 “장기간 건강이 불안정했던 리 전 총통의 병세가 더 악화했다”고 전한 바 있다.

리 전 총통은 대만 민주화와 경제 발전에 기여한 ‘타이완의 미스터 민주주의’로 불린 동시에 타이완 독립주의자로 평가받는다. 중국 본토가 아닌 타이완 신베이시에서 1923년 태어난 그는 일본 교토제국대학 출신으로 한때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고 2차 대전 때 일본 육군 소위로 임관한 뒤, 종전 후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돌아와 농경제학 교수로 학계에 몸담았다. ‘건국의 아버지’ 장제스의 아들인 장징궈 당시 총통의 눈에 들어 1972년 행정원장(총리)를 맡았고 최연소 국무위원으로 발탁된다. 이후 타이베이 시장, 부총통 등으로 승승장구하며 1988년 장 총통 사망 후 직무 승계를 통해 타이완 출신 첫 총통 자리에 오른다.

총통 재임 시절 그는 국민당 장기 독재를 끝내고 다당제와 총통 직선제를 도입하는 ‘위로부터의 민주주의’를 이뤄 냈다. 이어 1996년 총통 직접 선거에 나서 승리하며 ‘타이완 국민이 직접 뽑은 첫 총통’ 기록을 남기고 2000년 퇴임했다. 독립주의자였던 그는 임기 말년인 1997년 ‘중국과 타이완이 각각 별개의 나라’라는 양국론(兩國論)을 들고 나와 양안(兩岸·중국과 타이완) 관계에 파문을 불러일으켰다.

총통 재임 시절 당시 학자이던 차이잉원 현 총통에게 비밀리에 양안 관계 재정립 프로젝트를 맡겨 그를 정계로 이끈 인물이기도 하다. 말년에 그는 타이완 독립론자들로부터 ‘타이완의 아버지’라고 불린 반면 중국 본토는 그를 ‘독립 세력의 수괴’로 맹비난했다. 친일 전력 역시 오점으로 남는다. 유족으로 부인 쩡원후이와 두 딸 등이 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20-07-3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