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딱정벌레” 폭스바겐 내년부터 단종, 그러나 부활 가능성도

“안녕 딱정벌레” 폭스바겐 내년부터 단종, 그러나 부활 가능성도

임병선 기자
입력 2018-09-14 07:29
수정 2018-09-14 07: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2005년 칸느국제영화제에 등장했던 1960년대와 70년대 디즈니 영화에 출연했던 폭스바겐의 비틀. AFP 자료사진
지난 2005년 칸느국제영화제에 등장했던 1960년대와 70년대 디즈니 영화에 출연했던 폭스바겐의 비틀.
AFP 자료사진
이제 도로 위를 달리는 ‘신차 딱정벌레’를 볼 수 없게 됐다.

독일 자동차 제조사 폭스바겐이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자동차 브랜드 중 하나인 비틀의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셀레브레이션 모델만 내놓다가 내년 7월 이후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시장에서 더 이상 팔리지 않는다는 게 단종 이유였다.

올해 들어 8월까지 1만 1151대가 팔렸는데 전년 같은 기간에 견줘 2.2%가 줄었다. 미국 소비자들은 이 작은 차 대신 제타 세단이나 티구안 캠팩트 SUV를 더 찾는다는 것이다. 더욱이 폭스바겐은 디젤 배기가스 추문에다 전기자동차에 대한 투자가 계속 부담이 돼 모델을 줄이기로 한 것으로 풀이된다.

힌리히 보엡켄 폭스바겐 그룹 아메리카 최고경영자(CEO)는 “3세대에 걸쳐 70년 가까이 팬들로부터 많은 존경을 받았던 비틀을 잃게 된 것은 많은 감정을 불러 일으킨다”고 털어놓았다.

나치 독일이 “국민차”로 개발한 이 자동차는 1960년대와 70년대 디즈니 영화에 ‘허비’란 이름으로 몇 차례 등장하며 세계인의 사랑을 받게 됐다. 전설적인 엔지니어 페르디난드 포르셰가 1938년 처음 내놓았는데 그는 스포츠카 포르셰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과거에도 여러 차례 비틀 생산은 중단됐다가 다시 제조 라인을 돌리곤 했다. 보엡켄 CEO 역시 언젠가 부활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그는 “절대라곤 말하진 못하겠다”고 했다. 이미 이 회사는 전기자동차 버전으로 이 모델이 재탄생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적이 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