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라는 말에는 여러 해석이 있지만 ‘비뚤어진 모양을 한 기묘한 진주’라는 뜻의 포르투갈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르네상스에 대한 반동의 흐름으로 나타났고 음악, 미술, 패션, 음식 등 여러 분야에서 17세기 유럽 귀족들의 생활상을 규정지었던 문화다. 로코코 문화는 바로크 문화의 확장에 가깝다.
이미지 확대
모스크바 크렘린 공방, 성작, 1702년.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모스크바 크렘린 공방, 성작, 1702년.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 제공
영국은 지역적인 이유로 17~18세기 유럽을 휩쓴 바로크·로코코 문화의 주변부가 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산업혁명의 성과와 드넓은 식민지는 대륙 문화를 고스란히 흡수한 섬나라로 살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영국 런던의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은 건축물부터 시작해 옷, 조각, 자기, 보석, 가구, 미술품 등 아기자기한 실내 인테리어 소품에 이르기까지 유명 소장품이 많다. 작은 유럽의 궁정이라 할 수 있는 이곳을 책, TV만을 통해 찔끔찔끔 보지 않고, 또한 애써 돈과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3일부터 ‘바로크·로코코 시대의 궁정 문화’를 주제로 영국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 소장 유물 101점을 기획 전시한다. 8월 28일까지 열리는 특별전에서는 유럽 군주들이 아끼고 늘 곁에 뒀던 최고급 장식품을 선보인다. 왕실과 귀족을 비롯한 유럽 최상위 계층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자리다.
빅토리아&알버트 박물관은 특히 17~18세기 장식 미술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인정받는다. 상설 전시실 가운데 ‘1600~1800년 유럽’ 전시관이 보수 공사에 들어감에 따라 ‘한국 나들이’가 가능해졌다는 후문이다.
김영나 박물관장은 “이번 전시는 그동안 알고 있던 이 시대 미술의 영역을 넓힐 수 있는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5-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