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 한풍루’,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보물 된다

‘무주 한풍루’,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보물 된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4-20 11:06
수정 2021-04-20 1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주 한풍루. 문화재청 제공
무주 한풍루.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20일 전북 무주의 한풍루와 경기 양주시의 회암사지 사리탑를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조선 시대 관아 건물인 ‘무주 한풍루’는 선조 때 문신 임제가 호남의 삼한(三寒)인 무주 한풍루(寒風樓), 남원 광한루(廣寒樓), 전주 한벽루(寒碧樓)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았던 문화재다. 현판은 한석봉이 썼다고 전해지며, 수많은 묵객들이 글과 그림으로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당시 시대상과 문화상을 알 수 있는 건물이다.

정면 3칸, 옆면 2칸의 중층 누각 팔작지붕 건물로 조선 후기 관아누정 격식에 충실하게 지어졌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5세기 문신 성임과 유순 등이 한풍루를 보고 쓴 시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여러 기록을 통해 조선 초기부터 존재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1592)때 전소된 이후 다시 건립됐다. 문화재청은 “우리나라 몇 안 되는 중층 관영 누각으로 17세기의 시기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고 소개했다.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문화재청 제공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문화재청 제공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은 조선 전기 왕실에서 발원해 건립한 진신 사리탑(석가모니 몸에서 나온 사리를 모신 탑)이다. 규모가 장대하고,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사리탑 형식과 불교미술의 도상, 장식문양 등 왕실 불교미술의 여러 요소를 알 수 있다. 문화재청은 “왕릉을 비롯한 왕실 관련 석조물과 비슷하고 사리탑의 규모 등을 고려할 때 당대 최고의 석공이 설계 및 시공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조선 전기 석조미술의 정수이자 대표작으로 가치가 크다”고 설명했다.

‘무주 한풍루’와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은 30일 예고 기간 동안 각계 의견 수렴과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보물로 지정된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