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강렬하게 돌아온 죽음에 대한 정의

더 강렬하게 돌아온 죽음에 대한 정의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3-25 23:48
수정 2015-03-26 00: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현대무용단 안애순 감독의 ‘이미아직’

국립현대무용단 안애순 예술감독의 역작 ‘이미아직’(AlreadyNotYet)이 더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연출돼 관객들을 찾아간다. 지난해 초연 때보다 시각 이미지를 더 강화해 현실과 환상이 교차되는 경계를 더욱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도록 새롭게 꾸며졌다.

이미지 확대
‘이미아직’은 전통 상례에서 상여를 장식하던 목각인형 ‘꼭두’를 모티프로 한 작품이다. 꼭두는 이승을 떠나 저승으로 가는 망자와 동행하면서 그의 영혼을 위로하고 극락왕생을 축원하는 역할을 한다.

작품은 재난 및 재해로 갑작스럽게 죽은 이들을 위해, 아무에게도 관심받지 못한 채 죽을 수밖에 없었던 이들을 위해 고통의 제의를 펼치면서 죽음을 삶의 교집합으로 끌어안는 한국 전통사회의 묵묵한 힘을 보여준다. 특히 작품 속 ‘잔혹놀이’는 주목할 만하다. 귀신, 도깨비 등 미지의 존재들과 인간의 놀이를 통해 인간이 자의적으로 만들어낸 위계, 폭력을 적나라하게 비판하면서 분열되고 쪼개진 인간 사회의 통합을 모색한다. 안 예술감독은 “이번 작품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죽음이 갖는 의미, 우리가 죽음을 어떤 방식으로 다루는지를 되새겨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국적 그로테스크의 진수인 도깨비 유머와 몽환적 세계를 그려 온 작가 주재환, 음악동인 ‘고물’과 함께 전통 음악의 새로운 차원을 실험하는 작곡가 이태원, 프랑스 정상급 조명디자이너 에릭 워츠 등 국내외의 유명 아티스트들도 대거 참여한다.

지난해 5월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초연된 이후 4차례의 지역 순회공연을 거치며 호평을 얻었다. 내년엔 프랑스 샤요국립극장에서 공연한다. 다음달 24~26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3만~4만원. (02)3472-1421.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3-2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