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담론장 검열하는 것”…웹진 ‘연극in’, 일방적 휴간에 진통

“자유로운 담론장 검열하는 것”…웹진 ‘연극in’, 일방적 휴간에 진통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5-08-06 14:01
수정 2025-08-06 14: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2년 창간 웹진 ‘연극in’ 휴간 놓고 진통

이미지 확대
‘웹진 연극in 폐간 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 주말 서울 종로구 대학로 서울연극센터 앞에서 ‘연극in’ 폐간에 반대하는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대책위 제공
‘웹진 연극in 폐간 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지난 주말 서울 종로구 대학로 서울연극센터 앞에서 ‘연극in’ 폐간에 반대하는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대책위 제공


연극계 최전선에서 젊은 연극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왔던 웹진 ‘연극in’이 잠정 휴간에 돌입한 것을 두고 갈등이 커지고 있다. 예산삭감 등에 따른 재정상 어려움이 있다는 게 운영 주체인 서울문화재단의 입장이지만, 일선 극작가들은 현장의 목소리를 듣지 않고 일방적으로 폐간 절차를 밟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6일 연극계에 따르면 극작가 등 현장의 연극인 30여명 정도로 구성된 ‘웹진 연극in 폐간 대책위원회’(대책위)는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3일까지 개최되는 서울연극센터 ‘연극-하기와 보기’ 축제 기간 중 릴레이 1인 시위를 진행했다.

이들은 “웹진 ‘연극in’이 서울문화재단의 독단적 결정에 따라 폐간 위기에 놓여있다”면서 “지난해 12월 잠정적 휴간에 이어 사실상 폐간 수순을 밟고 있으며 서울문화재단은 대책위와 독자들에게 여기에 대한 합당한 연유를 설명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웹진 ‘연극in’ 홈페이지에 게시된 휴간 안내문. 홈페이지 캡처
웹진 ‘연극in’ 홈페이지에 게시된 휴간 안내문. 홈페이지 캡처


웹진 ‘연극in’은 2012년 창간됐다. 비평이나 이론 중심이 아닌 현장의 예술가들이 편집진으로 참여하면서 다양하면서도 생생한 연극계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왔다. 격주로 발행되는 매거진에는 한 번에 7개에서 많을 땐 10개가 넘는 연극 관련 글이 실렸다. 연극계에서는 “다른 데와 비교해서 권력이나 자본에 독립된 채 현장 예술가의 목소리를 실었던 매체”로 평가한다.

대책위는 “서울문화재단은 사업 예산 축소 및 개편의 이유를 들며 ‘연극in’을 폐간했으나, 기존 ‘서울문화포털’과 변별점이 없는 자체 포털 사이트 ‘스파크’를 새로이 열었다”며 “이는 자체 사업 및 정책만을 홍보하고 예술 현장의 목소리는 소거하려는 검열 시도이며, 연극인과 시민들의 공론장에 대한 검열 행위”라고 날을 세웠다. 이들은 “송형종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노선과 맞지 않는 매체들을 삭제하려는 적극적인 검열 행위”라고도 덧붙였다.

대책위 관계자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현장의 예술가와 시민들이 해당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공감하고 있으며 서울문화재단 측에도 해당 문제 제기에 관해 공식적으로 답변을 달라고 요청했는데, 무응답으로 일관하고 있다”면서 “지난 주말에 진행한 1인 시위 이후 재단 측의 입장을 기다리고 있으며 향후 서울시와 서울시의회 등을 향해 목소리를 내기 위해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교사의 AI 활용에 대한 실태 파악 필요···중장기적인 지침 마련할 것”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지난 1일 제332회 임시회 정책국 질의에서 교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과 관련한 교육청 차원의 실태 조사 추진을 당부하고, 교육청만의 중장기적 가이드라인 등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해주길 촉구했다. 지난달 교육부는 각 시도 교육청에 교사들이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시 챗GPT 등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교육부가 교사의 AI 활용과 관련해 기준을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학생부 기재 내용에 대한 최종 책임은 교사에게 있다’고 명시함으로써 향후 AI 활용에 대한 과제를 남겼다. 이 의원은 “AI 활용이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 됐음에도 아직 교육청은 교육 현장의 AI 활용 실태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교사들이 교육 활동 시 AI를 얼마나 자주 사용하고 어떤 유형으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하다못해 설문조사를 통해서라도 종합적인 활용 실상을 파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 의원은 “AI 활용도가 높은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 AI 활용 능력이 뛰어난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따라 학생부에 기재되는 내용 격차가 클 수 있다”
thumbnail - 이효원 서울시의원 “교사의 AI 활용에 대한 실태 파악 필요···중장기적인 지침 마련할 것”

이와 관련해 서울문화재단 측 관계자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소관 부서는 서울연극센터인데 올해 예산삭감으로 사업을 추진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아직 폐간 여부가 결정된 것은 아니고 현재 내년도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데, ‘연극in’의 사업성 등을 자세히 분석해서 복간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추후 검토 결과를 통해 더 좋은 개선 방향을 찾든 현장과 소통하고 조율해 다양한 방법을 타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