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 그림] 아무것도 없는 그곳에… 끌리듯 가는 이유

[책속 그림] 아무것도 없는 그곳에… 끌리듯 가는 이유

입력 2014-06-28 00:00
수정 2014-06-28 02: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당신에게, 몽골/이시백 글/이한구 사진/꿈의지도/328쪽/1만 4000원

몽골에 대한 이야기 한 자락. 몽골의 들녘엔 없는 게 대부분이다. 화려한 빌딩에 안락한 호텔은 고사하고 화장실도 없고 세수할 물조차 귀하다. 고비사막은 더하다. 아무것도 없다. 그런데도 지구별 많은 이들이 몽골의 초원을 향해 꾸역꾸역 몰려든다. 특히 한국인들에겐 한창 ‘핫’(hot)한 여행지로 떠오르는 중이다. 대체 왜?

이미지 확대
새 책 ‘당신에게, 몽골’이 답하는 방식은 이렇다. “물질의 홍수 속에서도 채워지지 않는 궁핍과 결핍의 시대에 처한 반도의 현대인들에게 원시의 삶이 아직 남아 있는 몽골은 자극이며, 반성이며, 자유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아무것도 없는 곳에 뭐하러 가느냐 묻는다면 아무것도 없는 것을 보러 간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그럼 아무것도 없는 곳에 가면 무얼 해야 할까. 당신은 이미 답을 알고 있다. 바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다.

책은 이 출판사의 ‘당신에게’ 시리즈 가운데 하나다. 사실 여느 여행서처럼 그리 친절한 안내서는 아니다. 몽골의 초원이, 사막이 당신에게 그리 친절하지 않은 것과 닮았다. 안내할 만한 게 딱히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맛집도, 탈 것도, 잘 곳도 드물다는 걸 상기하시라.

그래서 책은 몽골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맞췄다. 키워드는 모두 39개다. 망망한 초원에 쉼표처럼 찍혀 있는 몽골인의 집 게르, 눈 속에 바다를 담고 있는 몽골의 낙타 티메, 작지만 강한 몽골의 말, 말젖을 발효시켜 만든 술 아이락 등이다. 이 낯선 단어 하나하나가 당신을 몽골로 인도하는 징검다리 노릇을 톡톡히 한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4-06-2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