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콜너’ 윤덕원 작가 데뷔
창작자와 생활인 사이 균형 고민가사와 에세이, 너무 다른 글쓰기

연합뉴스
첫 에세이 ‘열심히 대충 쓰는 사람’을 출간한 밴드 브로콜리너마저의 리더 윤덕원이 2일 서울 종로구 노무현시민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책과 같은 이름으로 발표한 노래를 부르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앵콜요청금지’, ‘이웃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2007년 결성한 뒤 감성적인 가사와 멜로디로 사랑받은 밴드 ‘브로콜리너마저’의 리더이자 보컬인 윤덕원(43)이 작가로 데뷔했다.
그가 쓴 에세이 39편을 담은 책의 제목은 ‘열심히 대충 쓰는 사람’(세미콜론). ‘열심히 대충’이라는 말, 생각보다 많은 걸 꿰뚫고 있다. 어쩌면 우린 너무 ‘열심히’ 살고 있다. ‘대충’ 살아도 되기 위해서. 우린 어떻게 이 경지에 도달할 수 있을까. 2일 서울 종로구 노무현시민센터에서 간담회를 통해 만난 윤덕원은 이렇게 말했다.
“음악을 창작하는 사람으로 살아오면서 점점 깐깐해져요. 그 기준은 항상 작업을 마무리하는 단계에서 발휘되고요. 거기에 너무 많은 에너지를 쏟다 보니 창작자와 생활인 사이에서 균형을 놓치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마지막에 나를 짜내는 과정을 조금 ‘대충’해도 괜찮지 않을까. 그걸 위해 나머지 부분은 또 열심히 해 놔야겠죠. 오래 살기 위해서, 또 오래 하기 위해서.”
브로콜리너마저의 음악이 우리를 위로한 지 조금만 지나면 20년이 된다. 초창기 윤덕원과 지금의 윤덕원은 완전히 다른 사람이다. 그는 “처음엔 앨범을 하나 낼 때마다 변화가 크게 다가왔고, 무엇을 해야 할지 시각이 좁았다”면서 “지금의 화두는 자연스럽게, 오래, 어떻게 이 긴 시간을 창작과 함께 겪어 낼 것인지다”라고 말했다.
가사를 쓰는 것과 에세이를 쓰는 것. 같은 글쓰기지만 너무나도 다르다. 윤덕원은 “가사는 양이 적고 멜로디에 기댈 수 있지만 줄글은 글 안에서 리듬과 호흡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너무 달랐다”면서 “음악은 조금 부족해도 무대가 지나가면 마음속에서 덜어 낼 수 있는데, 글은 계속 남아서 계속 떠다닌다는 점도 크게 다른 것 같다”고 했다.
출간 일주일 전인 지난달 25일 윤덕원은 책과 같은 제목의 음원도 공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윤덕원은 직접 기타를 들고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가사와 멜로디는 단순하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말하는 듯하다.
“붙들고 있던 게 사라질까 봐/다듬고 다듬어도 모자랐죠./말하지 않으면 의미 없는 것을/그때는 왜 몰랐었을까요./이젠/열심히 조금 대충 쓰는 사람이 될래요.”
2025-09-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