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재단-부자의 상상력을 기부하라] 마사 최 게이츠재단 CAO

[공익재단-부자의 상상력을 기부하라] 마사 최 게이츠재단 CAO

입력 2012-07-23 00:00
수정 2012-07-23 0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성공 확률보다 혁신·창의성이 투자의 조건”

“성공 가능성이 10%를 밑돌아도 획기적인 아이디어에 투자하는 것이 자선재단의 역할이다.”

이미지 확대
마사 최 게이츠재단 CAO
마사 최 게이츠재단 CAO
세계 최대 민간 공익재단의 정보통신(IT) 및 행정 업무를 총괄하는 한국계 여성이 있다. 마사 최(57) 빌&멀린다게이츠재단 최고행정책임자(CAO)다. 교포 여성 최초로 미국 대도시 시의원(시애틀)에 당선되는 등 이민 여성사의 각종 이정표를 써 온 그는 지난 20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설립자인) 빌 게이츠 전 마이크로소프트(MS) 회장은 재단 사업이 창의적이고 혁신적이어야 한다며 늘 밀어붙인다.”고 전했다. 게이츠재단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등 세계적 저명인사들이 기부의 벤치마킹 모델로 삼고 노하우를 묻는 곳이다.

워싱턴주 무역장관 등 다양한 공직 경험이 있는 그는 “정부와 공익재단 모두 소외 계층의 문제에 주목한다는 점에서는 같다.”면서도 “세금으로 사업하는 정부는 (실패) 위험이 큰 프로젝트를 벌이기 어렵지만 민간 재단은 위험을 감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업의 안정성과 지속성에 얽매여 있는 정부는 도저히 엄두도 못 내는 실험적인 사업을 지원하고 이를 성공으로 이끄는 사회 변화의 지렛대가 바로 21세기 전성기를 맞은 민간 재단의 역할이라는 얘기다.

마사 최는 게이츠재단이 지원하는 ‘위대한 도전 탐험’ 사업을 예로 들었다. 재단은 국제 보건 현안들을 해결할 여러 아이디어에 자금을 지원한다. “가능성이 희박해도 파급력이 엄청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고 말했다.

마사 최는 상사인 게이츠의 리더십에 대해 “빌은 ‘참을성 없는 낙관주의’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긍정적이되 문제 해결의 급박성을 강조하고 끊임없이 독려한다.”면서 “그는 매우 목표 지향적이며 열정으로 똘똘 뭉쳤다. ‘이 투자가 최선이냐’, ‘이 사업이 정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최고의 선택이냐’고 계속 묻는다.”고 전했다. 빌이 뿜어내는 열정은 전염성이 강해 직원들은 자기도 모르게 ‘참을성 없는 낙관주의자’가 돼 버린다고 했다. 결국 훌륭한 기부란 돈만 내놓는 게 아니라 성공한 명사의 에너지와 아이디어, 리더십까지 온전히 제공하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서울대 교수로 재직하다 1948년 미국으로 이민한 고 에드워드 최 전 한인회장의 딸인 마사 최는 교사와 캘리포니아은행 부사장, 시애틀 시의원, 워싱턴주 무역장관 등을 지내다 2004년 게이츠재단에 합류했다.

시애틀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2-07-2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