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준 부산교육감 인터뷰
문해력·수리력 진단·향상 착수전자공고→반도체마이스터고
올해 반드시 지정되도록 최선

부산시교육청 제공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이 5일 서울신문과 인터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부산시교육청 제공
부산시교육청 제공
“성적만으로 아이들을 경쟁시키던 과거의 방식이 아니라 자신만의 가능성을 키워 아이들이 성공적인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5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우리 아이들이 미래 산업의 초석이 될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만들어 가겠다”며 이렇게 밝혔다.
2014~2022년 부산시교육감을 지낸 김 교육감은 지난 4월 치러진 재선거에서 당선되며 3년 만에 3선 교육감으로 교육청에 복귀했다. 잔여 임기가 1년 2개월로 길지 않지만 선거 때 했던 약속을 빠짐없이 실현해 나가고 있다.
김 교육감은 “선거 때 했던 가장 큰 약속은 전시행정으로 지친 학교를 살리고 교육가족의 자존심, 사기를 회복해 부산교육을 정상화하겠다는 것이었다”며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주요 사업을 점검·조정했다. 안정적으로 교육정책과 행정을 운영해야 할 일부 부서가 한시 기구화돼 있어 조직개편으로 정상화하면서 교육행정의 안정성과 책임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또 학생들의 문해력과 수리력을 진단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연구한다. 문해력, 수리력 부족이 기초학력 부진의 원인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진단을 위한 컴퓨터 기반 진단검사(CBT)를 개발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 개별 상담을 한다. 학교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설계도 추진할 예정이다.
부산전자공고를 부산반도체마이스터고로 전환하는 것도 주요 과제다. 지난해 지정에 실패했지만 올해 말로 예상되는 제20차 마이스터고 신규 지정에 성공해 2027년 3월 신입생을 모집하는 게 목표다. 김 교육감은 “부울경 지역 내 반도체 인력 양성을 위한 거점학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반도체마이스터고가 반드시 지정돼야 한다”며 “교육과정 개발 및 우수 교사 확보 방안, 기숙사 신축 일정 등이 교육부 요구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는데 이 점을 보완해 마이스터고로 지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08-0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