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자 13만명중 7303구 유해 찾았지만…

전사자 13만명중 7303구 유해 찾았지만…

입력 2013-06-07 00:00
수정 2013-06-07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디까지 진행 됐나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58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독립유공자와 6·25 전사자들의 유해를 발굴하고 이장하는 일에도 정성을 다할 것”이라고 밝힘에 따라 전사자 유해 발굴 및 신원확인 작업에 가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유가족 유전자 시료 채취
유가족 유전자 시료 채취 6·25 전쟁에서 전사한 국군장병의 유가족들이 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구강 속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지금까지 발굴한 국군장병 유해와 유가족들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대조해 신원을 확인하게 된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국방부에 따르면 6·25 당시 국군 전사·실종자는 16만 2374명. 이 가운데 2만 9202명은 현충원에 안장됐고, 수습하지 못한 전사자는 13만여명으로 추정된다. 당국은 남한에 9만여명, 비무장지대 및 북한에 4만여명이 묻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은 2000년 시작됐다. 3년간 진행된 한시사업이었지만, 이후 국가영구사업이 됐고 정식 발굴 및 감식부대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2007년에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유해발굴단)이 창설됐다. 유해발굴단은 지금까지 7303구(5월 31일 현재)의 국군 유해를 발굴했고, 이 가운데 82명의 신원을 확인해 유족에게 전달했다. 신원확인율이 1.1%에 그친 까닭은 유해발굴단이 확보한 유가족의 유전자 샘플이 2만 4900여명에 불과한 탓이다. 발굴 현장에서 인식표 등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 것도 한 이유다.

참전한 미군의 경우, 치과 진료기록 등이 잘 보존된 편이라 확인이 쉽지만, 당시 우리 병사들은 의료혜택을 받은 사람이 거의 없었다. 유가족이 유전자 샘플을 등록하지 않는다면 신원을 확인할 방법은 없다는 얘기다. 그나마 2009년 유해발굴단이 시료 채취방식을 혈액뿐 아니라 구강 내 분비물 등으로 확대한 이후 연간 수백명에 불과하던 유족들의 유전자 샘플 채취 건수가 연간 3000~4000건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시간이 넉넉하지 않다. 2009~2011년 연간 1000여구 이상 발굴하면서 속도를 냈지만 지난해에는 993구로 줄었다. 그나마 올해에는 5월 말 현재 307구에 그쳤다. 유해발굴단 배영아 소령은 “사업 초기에는 6·25 당시 접전 지역의 낙엽만 들춰도 유해가 나올 정도였다”면서 “이젠 웬만한 곳은 다 팠고, 인근지역으로 넓혀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6·25를 경험한 토박이 어르신들의 제보가 중요한데 이분들이 돌아가시고 있다”면서 “세월이 흐를수록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어 앞으로 3~5년 이후에는 발굴이든 신원확인이든 어려워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해발굴단은 전사자 직계가족과 8촌 이내의 유전자 샘플을 확보하기 위해 현장기동팀을 운용하고 있다. 1577-5625로 문의하면 된다. 전국 254곳의 보건소와 18곳의 군병원에서 유전자 시료 채취 및 건강검진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6-0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