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2300건… ‘인구절벽’ 가시화
지난 8월 국내 결혼이 2만 2300건에 그쳐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불경기와 함께 이달 말에는 윤달까지 끼어 있어 올해 연간 기준으로 결혼이 30만건에 못 미칠 수도 있다. 결혼이 20만건대로 내려앉는다면 1977년(30만 3156건) 이후 37년 만의 일이다. 유소년 인구와 생산가능인구의 급격한 감소가 동시에 나타나는 ‘인구절벽’의 공포가 가시화되는 셈이다. 더구나 결혼이 줄면서 저출산 기조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진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이달 결혼 건수는 2만 230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9%(3300건)가 줄었다. 2만 979건을 기록한 2004년 8월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1~8월 누적 기준으로는 20만 1200건으로 지난해보다 4.6% 줄었다. 8월까지의 수치 역시 19만 8949건이었던 2005년 이후 9년 만에 최저치다. 신혼부부가 줄고 있는 것은 20~30대 결혼 적령인구 자체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20~30대 인구는 2005년 1645만명에서 2012년 1480만명까지 줄었다. 최근 만혼(晩婚) 추세로 결혼을 미루는 사례가 많은 데다 불법 다문화 결혼을 근절하려는 정책이 강화된 것도 혼인 감소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결혼 건수는 경기를 후행적으로 반영하는 만큼, 지난해부터 계속된 경기 침체와 전셋값 고공행진 등이 결혼 감소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결혼이 줄면 2년 정도 뒤 출산율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2005년 이후 8월 기준으로 올해와 근접한 결혼 건수를 기록한 해는 2009년(2만 3188건)이다. 그해 결혼 건수는 30만 9759건으로 30만건에 겨우 턱걸이했다.
올해는 이달 24일부터 11월 21일까지가 윤달 기간이다. 윤달에는 일반적으로 결혼을 기피한다. 때문에 내년으로 결혼을 미룬 사례도 많을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하고 있다. 8월까지의 추세가 연말까지 계속된다면 연간 결혼 건수는 30만 1800건이 되지만, 20만건대에 그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고승연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1% 내외에 그치는 저출산 관련 재정 투자를 늘리는 동시에 신혼부부들이 안심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키울 수 있는 ‘고신뢰사회’ 구축을 병행하는 등 중장기적 저출산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4-10-2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