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충’, ‘김치녀’… 여성·노인 등 혐오 표현 ‘3년째 증가’

‘한남충’, ‘김치녀’… 여성·노인 등 혐오 표현 ‘3년째 증가’

이슬기 기자
입력 2015-12-08 13:51
수정 2015-12-08 13: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LG ‘롤리 키보드’
LG ‘롤리 키보드’
여성·노인 등 사회적 약자들을 차별하고 비하하는 혐오 표현이 인터넷에서 최근 3년 동안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온라인 혐오 표현을 찾아내 콘텐츠 삭제·특정 계정 이용정지 등 시정요구를 한 건수는 2013년 622건,작년 705건,올해(11월 말 기준) 833건으로 매년 10여%씩 늘어났다.작년과 올해 사이의 증가율은 18.2%였다.

혐오 표현은 여성·노인·장애인·외국인 등 특정 집단을 합리적 근거 없이 경멸해 사회적 편견을 조장하는 행위로,표적이 된 이들에게 성(性)적 수치심을 주거나 극단적 모욕을 한 경우가 적잖았다고 방심위는 전했다.

적발 사례에는 ‘발정난 암캐X’ ‘국제 창녀’ ‘군대 갔다 온 남자는 상폐남’ 등 남녀를 향한 모욕성 게시글과 ‘장애인 같다’ ‘사람 대접을 해줘야 하는 거냐’ 등 표현으로 장애인을 비하한 인터넷 개인 방송 BJ(진행자) 등이 포함됐다.

또 ‘늙으면 죽어야’ ‘집에 처박혀 죽음을 기다리지’ 등 노인을 모독하는 글과 ‘평균 인성이 금수 수준’ ‘바퀴벌레 종족’ 등 외국인을 무작정 비난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방심위는 전했다.

방심위는 무분별한 혐오 표현을 생산하는 일부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감시 활동을 벌여 엄중히 시정 조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온라인 혐오 표현은 명예훼손 등 혐의로 형사 처벌까지 받을 수 있는 사안이지만,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SNS) 보편화 등 영향으로 극단적 표현이 빠르게 양산되는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올해 6∼8월부터는 국내 남녀 네티즌들이 ‘한남충(한국 남성을 벌레에 비유한 표현)’ ‘김치녀(허영심이 심한 여성)’ 등 서로 비하 발언을 주고받는 ‘성(性)간 댓글전쟁’이 본격화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