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모든 임직원 “바른 보도로 미래를 밝히겠습니다” 이세돌 9단을 이긴 구글 알파고로 대변되는 인공지능(AI)의 진화는 지금까지 인류가 겪어 본 적 없는 전대미문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언론도 예외는 아닙니다. ‘로봇저널리즘’이란 용어가 낯설지 않은 시대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믿습니다. 저널리즘의 핵심인 가치판단과 의제설정, 정론직필은 사람만이 할 수 있습니다. 18일 창간 112주년을 맞는 서울신문 임직원은 앞으로도 변함없이 사시(社是)에 따라 바른 보도로 미래를 밝히는 길에 매진하겠습니다. 이 사진은 서울신문 임직원의 얼굴을 모자이크 프로그램인 ‘안드레아 모자이크’로 합성해 만들었습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신문 모든 임직원 “바른 보도로 미래를 밝히겠습니다”
이세돌 9단을 이긴 구글 알파고로 대변되는 인공지능(AI)의 진화는 지금까지 인류가 겪어 본 적 없는 전대미문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언론도 예외는 아닙니다. ‘로봇저널리즘’이란 용어가 낯설지 않은 시대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믿습니다. 저널리즘의 핵심인 가치판단과 의제설정, 정론직필은 사람만이 할 수 있습니다. 18일 창간 112주년을 맞는 서울신문 임직원은 앞으로도 변함없이 사시(社是)에 따라 바른 보도로 미래를 밝히는 길에 매진하겠습니다. 이 사진은 서울신문 임직원의 얼굴을 모자이크 프로그램인 ‘안드레아 모자이크’로 합성해 만들었습니다.
이세돌 9단을 이긴 구글 알파고로 대변되는 인공지능(AI)의 진화는 지금까지 인류가 겪어 본 적 없는 전대미문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언론도 예외는 아닙니다. ‘로봇저널리즘’이란 용어가 낯설지 않은 시대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믿습니다. 저널리즘의 핵심인 가치판단과 의제설정, 정론직필은 사람만이 할 수 있습니다. 18일 창간 112주년을 맞는 서울신문 임직원은 앞으로도 변함없이 사시(社是)에 따라 바른 보도로 미래를 밝히는 길에 매진하겠습니다. 이 사진은 서울신문 임직원의 얼굴을 모자이크 프로그램인 ‘안드레아 모자이크’로 합성해 만들었습니다.
2016-07-1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