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대신 카톡 안 되나요”…MZ세대 10명 중 4명 ‘콜포비아’ 경험

“전화 대신 카톡 안 되나요”…MZ세대 10명 중 4명 ‘콜포비아’ 경험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3-10-31 13:58
수정 2023-10-31 1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MZ세대 10명 중 3명은 전화 통화에 불안감을 느끼는 일명 ‘콜 포비아’(Call Phobia) 증상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MZ세대 149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콜 포비아’ 증상을 겪고 있다는 이들은 35.6%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조사(29.9%)보다 5.7%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콜 포비아’는 전화 통화를 할 때 두려움과 불안감을 느끼는 증상을 말한다. 심할 경우 전화벨이 울리는 것만으로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식은땀이 나기도 한다.

MZ세대가 전화 통화의 어려움으로 꼽은 가장 큰 이유는 ‘생각을 정리할 틈 없이 바로 대답해야 하는 점(60.0%, 복수응답)’ 이었다. 이어 ▲생각한 바를 제대로 말하지 못할 것이 걱정돼서(55.9%) ▲문자, 메시지 등 비대면 소통이 훨씬 익숙해서(51.6%) ▲상대방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할 것이 걱정돼서(29.5%) ▲할 말이 떨어졌을 때 침묵이 불안해서(24.2%) 등도 전화가 어려운 이유로 꼽았다.

‘콜 포비아’를 겪는 MZ세대가 호소하는 주된 증상은 ‘전화를 받기 전 느끼는 높은 긴장감과 불안(64.0%)’으로 집계됐다. 응답자들은 ‘전화 통화 시 앞으로 할 말이나 했던 말을 크게 걱정된다’(47.8%)거나 ‘전화 통화 시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식은땀이 나는 등 신체 변화(22.0%)’를 ‘콜 포비아’의 증상으로 들었다.

응답자들은 ‘지원, 면접 등 구직 관련 전화를 할 때’(72.8%) 두려움을 가장 많이 느낀다고 답했다. 그 뒤로는 ▲직장 상사, 거래처 등 업무상 전화를 할 때(60.4%) ▲제품, 서비스 등 문의 전화를 할 때(44.5%) ▲예약 접수, 취소 전화를 할 때(39.2%) ▲배달 주문 접수, 취소 전화를 할 때(34.3%) 등의 순이었다.

‘콜 포비아’ 대처 방법으로는 ‘모르는 번호의 전화는 받지 않기(39.2%)’가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 ▲전화 통화를 최소화하고 이메일, 문자 위주로 소통(28.8%) ▲전화 통화를 하기 전 미리 대본 작성(28.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MZ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소통 방식은 ‘문자·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한 텍스트 소통’이었다. 이를 선택한 응답자는 70.7%로, 지난해 조사(61.4%)보다 크게 올랐다. 또 남성보다는 여성(75.9%)이 텍스트 중심의 소통 방식을 더 높은 비율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