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부터 행안부 직원 전용 숙소 운영
교육생은 원외 거주, 행안부 직원은 원내 특혜
월 5만원에 행안부 직원만 헐값 숙소 이용
타 이전기관 임직원 형평성 문제 있다 불만
가족 동반 이주율 8.6%, 이전 기관 중 꼴찌
전북 전주·완주혁신도시로 이전한 ‘행정안전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이 행안부 공무원에게만 직원 전용 숙소를 염가에 제공해 특혜 논란이 일고 있다. 혁신도시 이전 기관 중 유일하게 직원 전용 숙소를 운영하는 자치인재원은 가족 동반 이주율이 가장 낮아 자족도시를 지향하는 혁신도시 취지에 역행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행안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이 행안부 직원 전용 헐값 숙소 운영으로 혁신도시 취지에 역행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자치인재원 전경.
3일 자치인재원에 따르면 2013년 전북혁신도시로 이전 당시부터 행안부 직원 전용 숙소 ‘청심관’을 운영하고 있다. 2인 1실 구조 40실로 80명이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다. 자치인재원 전체 직원의 80%가량을 수용할 수 있다. 청심관은 단기 교육생 숙소인 ‘목민관’ 193실(2인용 44실, 1인용 88실, 통합 1인용 58실, 장애인용 3실)과 별도다.
특히, 청심관은 한 달 이용료가 5만원으로 매우 적다. 전기료, 상하수도 등 관리비만 받는 수준이어서 거저 이용하는 셈이다. 식사도 하루 세끼를 모두 원내에서 해결할 수 있다. 혁신도시 이전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 기여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더구나 일부 간부들은 교육생 전용 숙소인 목민관의 1인실을 차지해 ‘특혜 중 특혜’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타 이전 기관들이 질시하는 이유다.
전북혁신도시 공공기관 임직원들은 “행안부가 혁신도시 취지에 맞지 않게 직원들에게 특혜를 주고 있다”며 불만을 감추지 않는다. 자치인재원 인근 원룸은 월세가 30~40만원이고 관리비를 별도로 내야 하는데 행안부 공무원만 단돈 5만원에 한 달을 지낼 수 있어 형평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자치인재원에서 장기 교육을 받는 전국 자치단체 공무원도 문제를 제기한다. 지자체 교육생에게는 지역경제 활성화 명분으로 외부에서 숙식을 하도록 원내 시설 이용을 제한하는 반면, 수범을 보여야 할 행안부 직원만 특혜를 누리고 있다고 볼멘소리다.
교육생 A씨는 “지자체 산하기관의 경우 출퇴근 거리가 아무리 멀어도 전용 숙소 제공 등 지원이 전혀 없는 만큼 행안부도 같은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며 “힘있는 부처다 보니 행안부 직원만 누리는 특혜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을 하지못할 뿐이다”고 털어놓았다.
직원 전용 숙소 특혜가 자치인재원의 가족 동반 이주율이 낮은 원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자치인재원 안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편리하게 숙식을 제공받을 수 있어 구태여 가족과 함께 이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자치인재원의 가족 동반 이주율은 8.6%로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13개 공공기관 가운데 꼴찌다. 전국 혁신도시 이전 기관 중에서도 최하위권으로 알려졌다. 전체 직원 105명 중 9명만 가족과 함께 이주했다. 69명은 단신 이주, 26명은 독신·미혼이다. 전북혁신도시 가족 동반 이주율 평균 54.8% 보다 훨씬 낮고 70% 이상인 국립식량과학원 등 농촌진흥청 산하기관들과 대조적이다.
교육생 B씨는 “자치인재원 직원 전용 숙소는 혁신도시 취지와 맞지 않고 타 기관과 교육생들에게 위화감을 주기에 충분하다”며 “개원 초기라면 이해할 수 있으나 혁신도시가 자리를 잡은 만큼 새롭게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개선을 촉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