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태화강 대숲에 둥지를 튼 중백로의 새끼가 알을 깨고 부화하는 모습. 울산시 제공
울산 태화강에 둥지를 튼 중백로가 두 달여 동안 번식과 성장하는 모습이 처음으로 영상에 담겼다.
울산시는 지난 6월 2일부터 8월 11일까지 삼호철새공원에 설치된 관찰카메라(CCTV)를 통해 중백로의 번식 과정을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중백로는 여름 철새로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보내고 4월 번식을 위해 태화강을 찾아와 9월 하순에 떠난다.
태화강 대숲에 둥지를 튼 백로류의 기록 영상은 2020년 왜가리, 2021년 중대백로, 2022년 황로에 이어 네 번째다.
백로들은 많은 수가 찾아와 관찰이 쉬웠던 반면, 소수 개체가 드물게 찾아오는 중백로는 그렇지 못했다.
그러던 중 지난 6월 2일 관찰카메라에 중백로가 알 2개를 품은 모습이 처음으로 포착됐다. 이튿날에는 세 번째 알을 산란하는 모습, 4일에는 암수가 교미하는 장면도 카메라에 잡혔다. 이후 암수가 교대로 알을 품다가 10일에는 네 번째 알을 낳았다.
이후 26일에는 첫째 새끼가 알을 깨고 나왔으며 어미가 먹이를 주는 모습도 관찰됐다. 27일에는 어미 새가 둘째 새끼의 알껍데기를 밖으로 버리고 나서 갓 태어난 새끼에게 반쯤 소화된 먹이를 줬다. 이어 30일에는 셋째 새끼가, 7월 1일에는 넷째 새끼가 각각 부화했다.
중백로는 알을 낳은 뒤 24~27일(평균 26일) 정도 품어 부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관찰된 중백로는 지난 5월 31일 첫 번째 알을 낳은 것으로 추정된다. 6월 3일 세 번째, 6월 10일 네 번째 알을 산란한 점을 고려하면 평균 26일 동안 알을 품었다.
부화 후 14일째인 지난 7월 14일 어미 새는 둥지 곁에서 새끼들을 돌보다 이내 둥지를 벗어나 8시간에서 10시간 간격으로 먹이를 줄 때만 찾아왔다. 같은 달 25일부터는 새끼들이 둥지 옆 가지를 뛰어다니는 등 이소를 연습하는 행동들이 관찰됐다.
부화 후 35일째인 지난 7월 31일 첫째 새끼가 둥지 밖으로 날아갔다. 이어 8월 8일에 둘째가 이소했고, 이틀 뒤인 지난 8월 10일 셋째와 넷째가 날개를 치고 날아 둥지를 벗어났다.
시 관계자는 “관찰기록 영상자료를 울산철새여행버스와 조류사파리 누리집 등을 통해 교육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