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0년간 결혼 후 첫째 아이를 낳기까지 걸리는 기간이 1년 늘어났다. 결혼하는 나이는 늦어졌을뿐더러 결혼 이후 출산까지 시간이 늦춰지면서 첫 아이를 낳아 엄마가 되는 나이는 7살 가까이 많아졌다. 통계청은 3일 이런 내용의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의 혼인·출생 변화’를 발표했다.
출산 당시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1995년 1.5년에서 지난해 2.5년으로, 29년 만에 1.0년 길어졌다. 이 기간은 법적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실제 결혼생활을 시작해 첫째 아이를 출산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결혼 후 2년 안에 아이를 낳는 비중도 같은 기간 43.4%에서 35.0%로 8.4% 포인트 떨어졌다.
●초혼 연령 남성 5.5세·여성 6.4세 상승
결혼 시기도 미뤄졌다. 평균 초혼연령은 1995년 남자 28.4세, 여자 25.3세에서 지난해 남자 33.9세, 여자 31.6세로 높아졌다. 남성은 5.5세, 여성은 6.4세 상승한 것이다. 통계청은 “여성은 평균 초혼 연령이 꾸준히 상승했고, 남성은 2020년과 지난해를 제외하고 대체로 상승 흐름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고령 산모 출생아 비중 7.5배 치솟아
자연스레 부모가 되는 나이도 늦어졌다. 모(母)의 평균 첫째 아이 출산연령은 1995년 26.5세에서 지난해 33.1세로 6.6년 미뤄졌다. 둘째 아이와 셋째 아이의 평균 출산연령은 각각 5.7세, 4.0세 올랐다. 아이 순서와 무관한 모의 전체 평균 출산연령은 같은 기간 27.9세에서 33.7세로 5.8세 상승했고, 부의 평균연령은 31.1세에서 36.1세로 5.0세 높아졌다. 출산연령이 높아지면서 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출생아 비중은 4.8%에서 35.9%로 약 7.5배 치솟았다.
2025-09-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