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된 차량도 있어 ··· 자율점검 불응 車 더할 것”

인천지방경찰청 제공
인천경찰청은 최근 40여일 동안 학교 또는 학원에서 운행중인 어린이 통학버스 3640대의 안전실태를 점검한 결과 25%인 908대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점검에 참여한 3640대는 자율 참석한 차량들로, 바쁘다는 이유 등으로 불참한 통학버스의 경우는 사정이 더 심각할 수도 있다. 적발된 차량 중에는 학생들을 많이 태우기 위해 좌석을 불법 증설하거나, 출고된지 23년이 지난 1996년식 승합차를 운행중인 학원도 있었다.
경찰은 보조석을 추가 설치하는 등 좌석을 불법 개조한 운전기사 15명은 자동차관리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하고, 안전장치가 부실한 1204건은 즉시 바로잡도록 조치했다. 안전교육을 받지 않은 운전기사나 학원 운영자 106명에게는 교육이수를 권고했다.
부적합 사항 1325건 가운데, 하차 확인 장치 불량과 불법 개·변조가 281건(20.8%)으로 가장 많았다. 소화기나 비상 탈출 망치 불량도 240건(17.8%)으로 뒤를 이었다. 부적합 차량을 검사한 민간 자동차검사소는 교통범죄수사팀에서 수사할 예정이다.
이번 전수 조사는 지난 5월 15일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초등생 2명이 목숨을 잃고 행인 등 5명이 다친 사설 축구클럽 통학차 사고를 계기로 이뤄졌다.
경찰은 이번 자율점검에 참여하지 않은 통학버스에 대해서는 인천시와 협조해 이달 중 안전점검을 끝낼 예정이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