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대의대 서울아산병원 김헌식(의학과)
울산대의대 서울아산병원 김헌식(의학과) 교수팀은 캡사이신 자체가 발암물질은 아니지만 캡사이신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인체 자연살해세포의 세포질 과립 방출 기능에 장애를 초래, 암 발생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자연살해세포란 혈액 속을 떠다니다가 암세포를 만나면 암 세포막에 구멍을 낸 뒤 세포질 과립을 분비해 암세포를 괴사시키는 항암면역세포이다.
연구팀은 다양한 암세포를 대상으로 캡사이신을 10μM, 20μM, 50μM, 100μM(마이크로몰․백만분의 1몰) 등 각각 양을 달리 해 투여한 뒤 자연살해세포 활성도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위암세포 ‘AGS’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자연살해세포 활성도를 뜻하는 세포질 과립 방출 정도가 캡사이신 투여 전 15%에서 고용량인 50μM을 투여한 뒤에는 10%로 활성도가 무려 33%나 떨어졌다.
또 자연살해세포 기능을 측정할 때 주로 사용되는 ‘혈액암세포 221’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자연살해세포 활성도가 캡사이신 투여 전 32%에서 50μM 투여 후 16%, 100μM 투여 후에는 4%로 크게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됐다.
반면, 저용량에 해당하는 10μM, 20μM을 투여했을 때는 자연살해세포 활성도가 28%, 27%로 투여 전의 32%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캡사이신에 의한 자연살해세포 활성억제에서 사람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즉, 캡사이신 자체가 암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지나치게 많은 양의 캡사이신을 섭취할 경우 암세포를 공격하는 자연살해세포를 위축시켜 간접적으로 암 발생을 돕는 셈이다. 김헌식 교수는 “자연살해세포 활성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지만 고용량 캡사이신에 대한 활성억제는 거의 공통적으로 나타났다”면서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캡사이신을 고용량으로 섭취할 개연성이 큰만큼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런가 하면 캡사이신은 체내 수용체인 ‘TRPV1’ 단백질과 결합해 항암활성을 나타내는데, 고용량의 캡사이신은 TRPV1과 결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자연살해세포의 기능 장애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TRPV1이 부족하거나 민감성이 떨어지는 30~40대 이후 성인이 캡사이신을 다량으로 섭취할 경우 암에 더욱 취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동안 캡사이신은 암 억제나 진통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지만, 항암면역세포인 자연살해세포의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는 이번에 처음 제시된 것으로, 암세포에만 국한됐던 캡사이신에 대한 연구를 항암면역세포로까지 확장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헌식 교수는 “기존 캡사이신 연구가 암에만 국한됐던 반면 이번 연구는 항암면역세포 활성에 관한 최초의 연구”라면서 “캡사이신에는 항암, 통증완화 등 유용한 생리 활성성분도 많은 만큼 적당하게 먹으면 나쁠 게 없지만 지나치게 매운 고추는 피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권위있는 국제 SCI 학술지 ‘칼시노제네시스(발암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