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극중 노덜드라 부족이 사는 지역에는 댐이 있었는데, 이는 노덜드라족이 물을 다스릴 수 있도록 아렌달 왕국이 우정의 표시로 만들어 준 것이었다. 한데 우정의 표시인 줄 알았던 이 댐이 알고 보니 해당 지역 정령의 기반을 약화시킨 원인이었다. 주인공은 이 댐을 무너뜨리는 일이 관계를 복원하는 길이라 판단하고 정령의 힘을 동원해 댐을 허물어 버리게 된다. 댐이 무너지고 난 후 어두웠던 두 왕국에는 다시 빛이 찾아오고 영화는 막을 내린다.
주지하다시피 겨울왕국의 배경은 노르웨이다. 이 노르웨이에는 영화에서와 같이 실제로 댐이 상당히 많은데, 노르웨이 석유에너지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660개의 수력발전소가 존재한다. 참고로 우리나라에는 99개의 수력발전소가 있다. 수력발전이란 물의 위치에너지를 발전기 터빈의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며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물을 가두는 댐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이렇게 많은 댐 덕분에 노르웨이의 전체 전기 설비용량 중 96%를 청정한 수력발전이 차지하고 있다. 덕분에 노르웨이는 늘 한 자릿수 미세먼지 농도의 청정한 환경도 누리고 있다.
그러니까 겨울왕국인 이 노르웨이에서 정말 댐이 사라진다면 전기로 만들 수 있는 빛은 사라지고 미세먼지가 찾아올 수 있다는 말이다. 요즘 같은 겨울에 노르웨이는 오전 9시가 넘어 해가 뜨고 오후 3시가 되면 해가 진다. 전기가 없던 시절엔 정말 칠흑같이 어두웠던 곳이 이 겨울왕국이었다.
우리나라에도 댐은 많이 존재한다. 한데 우리나라의 댐은 주로 수력발전의 용도보다는 농업용수 조달의 목적이 대부분이다. 역사도 상당히 오래됐는데, 삼국시대에 축조된 제천 의림지 등 저수지를 생각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농업용수의 개발이 없었다면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쌀농사는 우리나라에서 발달할 수 없었다. 우리가 이렇게 한반도에 정주하기도 어려웠을 것이다.
요즘 간혹 물은 있는 그대로 흐르게 두어야 한다는 말이 절대 선으로 여겨지는 경우를 본다. 하지만 이는 자연에는 옳은 말이지만, 인간에게는 아닐 수 있다.
물을 다스려 인류는 농사도 지어야 했고, 홍수 및 가뭄도 조절해야 했으며, 전력도 생산해야 했다. 그런 댐을 나쁜 것으로 인식하면 곤란하다. 부디 겨울왕국2를 관람한 1000만명이 넘는 아이들에게 댐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이 자리잡히지 않길 바란다.
2020-01-03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