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파 논리와 후보 흠집내기 혼탁 양상… 국정 뒷받침할 비전과 정책 제시해야
더불어민주당 대표 경선의 분위기가 점차 혼탁해지고 있다. 본선에 진출한 송영길(55)·김진표(71)·이해찬(66) 후보는 문재인 대통령과 친소 관계(친문)와 계파 논리를 놓고 공방을 벌이고 있다. 경선 초반부터 정책과 비전은 실종됐다. 송영길 후보는 그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해찬 후보는 문재인 대통령보다 선배였고, 더 윗사람인데 대통령 입장에서 오히려 부담스럽지 않겠냐”며 공세를 취했다. 이에 이해찬 후보는 “문 대통령과는 서로 격의 없는 사이여서 부담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고, 김진표 후보는 “개혁이나 혁신은 나이로 하는 것이 아니라 경륜과 의지로 하는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또 송 후보는 “후보 셋 중에 내가 가장 ‘친문’”이라고 주장했다.집권당에서 정책과 노선을 둘러싼 논쟁은 건강한 경쟁이지만, 대통령과의 친소 관계를 내세우며 편을 가르고 이를 바탕으로 계파 다툼을 하는 것은 추악한 권력 싸움이다. ‘친박’ ‘진박’ ‘원박’ 등의 논란으로 날을 새운 박근혜 정부가 몰락한 이유이기도 하다. 세 후보는 어제 공명정대한 선거 운동을 약속하는 ‘공명선거실천 서약식’을 가졌지만, 기념사진을 찍고는 이내 상대 후보 흠집 내기에 진력하고 있다. 이래서야 책임정치를 하는 여당이라고 할 수 있겠나.
문재인 정부 중반기를 이끌 차기 민주당 대표의 책임은 막중하다. 집권당 대표로서 국정을 뒷받침할 뿐 아니라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늘리도록 정부 정책을 견인해야 한다. 특히 미·중 무역전쟁과 일자리 감소 등으로 향후 경제 전망이 어려운 상황에서 여당 대표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크다. 지난 1년 2개월여 문재인 정부가 ‘민주당 정부’였다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당의 역할이 미미했다는 점을 세 후보는 뼈저리게 되돌아봐야 할 것이다.
여소야대 국회에서 협치 리더십은 필수다. 민생입법과 개혁입법이 속도감 있게 국회에서 처리되려면 여소야대 지형에서 야권의 협력이 절실하다. 특히 여당 대표가 협치 리더십을 책임져야 한다. 그래야 야당과 ‘협치내각’을 하겠다는 청와대의 구상이 성공할 수 있다. 새 대표는 2020년 총선에서 혁신적인 공천을 통해 인재를 발굴하는 과제도 떠안는다. 그런데도 민주당 대표 경선 초반 모습은 실망스럽다. 문재인 정부의 성공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지 비전과 정책을 제시하는 게 먼저다. 명실상부한 ‘민주당 정부’가 될 수 있도록 인물과 노선을 놓고 경쟁하는 대표 경선이 돼야 한다. 대표 경선이 정책과 비전을 제시하는 현장이 되도록 세 후보는 분발하기 바란다.
2018-08-02 27면